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가격, 왜 안 내리죠?… ‘산지 폭락’ 소고기값의 모순

북기기 0 127 0 0




‘한우 가격이 폭락했다.’ 이 한 문장을 놓고 한우농가와 소비자 반응은 180도 다르다. 한우농가는 “벼랑 끝에 내몰릴 만큼 심각한 위기”라 말한다. 소비자 사이에선 “여전히 한우는 비싸다”는 인식이 강하다. 한우 가격을 둘러싸고 생산자와 소비자 간 인식 차이가 이토록 큰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소비자에겐 피부에 와닿지 않지만, 한우 도매가격은 실제로 폭락했다. 17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16일 기준으로 6~7개월 암송아지 1마리의 산지 경매가격은 197만6000원, 숫송아지는 290만4000원이다. 1년 전보다 각각 32.7%, 26.2%나 떨어졌다. 1등급 한우의 등심 도매가격은 16일 기준으로 ㎏당 5만5642원이다. 약 1년 전인 지난해 1월 17일 6만7940원과 비교하면 18.1% 내렸다.

산지 가격은 30% 안팎 떨어지고 도매가격은 20% 가까이 하락했는 데도, 소비자가격의 변동 폭은 이보다 적다. 지난 16일에 1등급 한우 등심의 평균 소비자가격은 ㎏당 9만8640원으로 1년 전 11만2510원보다 12.3% 하락했다. 한우농가 입장에서는 ‘폭락’이 맞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소폭 하락’ 수준이다.
 

2023011717274388234_1673944063_0017874069_20230117224302683.jpg?type=w647



한우 도매가격의 가파른 하락은 비극적 일을 부르기도 했다. 한우협회에 따르면 우시장이 열린 지난 13일 경북 예천에서 한우농가를 운영하는 한 농민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 한우협회는 “축사를 신축하면서 큰 금액의 빚을 지게 됐는데 최근 금리 인상, 사료비 폭등에 소 값 폭락이 겹치면서 경영난을 겪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는 산지 가격의 하락세를 좀처럼 느끼기 힘들다. 소매가격뿐 아니라 식당의 가격표에서도 ‘한우 가격 폭락’은 먼 얘기다. 한우를 ‘시가’로 판매하지 않는 한 외식업자들이 메뉴판을 바꾸는 게 쉽지 않아서다. 서울 중구에서 한우전문식당을 운영하는 최모씨는 “몇 개월 동안 한우 가격이 떨어졌다고 해도 외식 가격으로 반영되는 데 시간이 걸린다. 2년 동안 가격표가 그대로다. 도매가격 오른다고 가격을 올릴 수 없었는데, 내린다고 바로 내리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한우협회 등에서는 복잡한 유통 시스템을 원인으로 지목한다. 한우농가는 우시장에서 경매로 소를 판다. 도매상은 이 소를 부위별이 아닌 ‘마리 단위’로 사들인다. 구매한 소는 도축 이후에 상품으로 판매 가능하다. 도축에는 비용이 든다. 인건비, 물류비 등이 유통 비용으로 추가된다.

소 한 마리를 사들여 각종 부산물을 제거하고 나면 고기로 팔 수 있는 부위는 60~66% 정도다. 부위마다 유통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높은 값을 받을 수 있는 등심은 소 한 마리에서 8%도 안 된다. 소 한 마리의 경매 가격이 떨어져도 등심 부위 가격은 크게 낮추기 쉽지 않다. 유통업체가 마진을 남길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