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봉준호 “칸은 벌써 과거, 관객 반응이 궁금하다···변장하고 극장 찾아 볼 생각”

보헤미안 0 564 0 0

봉준호 감독과 배우 송강호가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CGV용산아이파크몰점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칸은 벌써 과거가 됐다. 이제 한국 관객 한 분, 한 분의 소감이 궁금하다. 약간의 가벼운 변장을 하고 일반 극장에 가서, 관객들이 속닥속닥 말씀하시는 것을 들으며 같이 영화를 볼 생각이다. 무슨 얘기를 하시며 어떤 느낌으로 보실지 궁금하다.”

오는 30일 개봉하는 영화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이 28일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언론 시사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개봉을 앞둔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 봉 감독에게 72회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긴 <기생충>이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인 날인 만큼, 시사회와 간담회가 열린 극장에는 500여명의 취재진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봉 감독과 주연 배우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장혜진이 참석한 간담회에서는 수상을 축하하는 인삿말과 함께 영화의 내용과 주제, 미장셴 등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이 쏟아졌다.

빈부격차와 계급·계층 갈등을 다룬 영화의 주제 의식에 대한 질문이 많이 나왔다. 봉 감독은 “굳이 양극화 같은 사회·경제적 단어를 동원하지 않고도, 일상에서 마주치는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의 모습을 솔직하고 사실적으로 담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자와 빈자 그 자체보다도 인간에 대한 존엄과 예의에 대한 이야기다. 서로 예의를 어느 정도 지키냐에 따라, 기생이 될 수도 공생·상생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영화에서 주된 소재로 활용된 ‘냄새’에 대해서도 봉 감독은 “부자와 빈자는 사실 동선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냄새를 맡을 기회가 없다”며 운을 뗐다. 이어 “영화에 나오는 가정교사, 운전기사와 같은 직종의 근무 상황은 부자와 가난한 자가 서로 가까이에서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를 만든다. 이러한 상황이 이어지는 영화다보니, ‘냄새’를 다루지 않는 게 오히려 더 이상할 정도였다”고 답했다.

배우 송강호 역시 “‘냄새’와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들이 우리 스스로를 얼마나 가두고 있었나 되돌아보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면서 “관객들이 영화적 재미를 흠뻑 느끼면서도 우리 자신과 사회를 생각해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는 영화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봉준호 감독(왼쪽부터), 배우 최우식, 박소담, 장혜진, 조여정, 이선균, 송강호가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CGV용산아이파크몰점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국 배우들과 영어로 촬영했던 <설국열차>(2013), <옥자>(2017)와 달리, 오랜만에 한국어로 영화를 만든 소감을 묻는 질문도 나왔다. 봉 감독은 “현장에서 모든 스탭과 한국어로 대화하니, 방언이 터지듯이 말이 나왔다”며 웃었다. 그는 “현장에서 즉각즉각 대사의 토씨나 단어를 바꾸며 수정을 하는 작업을 할 수 있었다. 제가 토스를 하면 배우들이 강스파이크를 때려주는, ‘주거니받거니’ 재미가 있었던 것이다. 사실 영어로 할 때는 좀 힘들었던 점”이라면서 “오늘(기자간담회)도 사실 좋다. 칸에서는 해외 매체 기자들과 통역을 거쳐 이야기하다보니 소통이 힘들었다. 한국말로 하니 좋다”고 말했다.

<기생충>은 부자의 집과 가난한 집, 상반되는 공간에 이야기를 집약시킨 영화다. 봉 감독은 공간들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그는 “가장 많은 사건이 벌어지는 ‘부잣집’에서는 인물의 동선이 교묘하게 엮이기 때문에 이하준 미술감독님께 복잡한 구조를 스케치해 보여드렸다. 사실 건축학적으로는 말이 안되는 집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건축적으로도 그럴듯하게 보이는 세트가 나왔다. 미술팀의 장인정신과 집요함이 빛을 발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칸영화제 경쟁부문 심사위원장이었던)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이 집을 어디에서 찾았냐고 묻더라. 영화를 보신 분들이 그 집이 세트인 것을 알아채지 못하는 것을 보고 쾌감을 느꼈다”고 농담을 던졌다.

봉 감독은 <기생충>이 스태프의 표준근로시간을 정확히 지키고 완성된 작품으로 화제가 된 데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그는 “<기생충>이 영화계 표준근로 정착에 선구자적인, 특별한 노력을 했던 것은 아니고 2017년쯤부터 이미 영화계 전체가 그렇게 움직이고 있었다”면서 “TV 드라마 쪽도 논의가 활발히 요즘 진행된다고 들었다. 빨리 협의가 잘 이뤄져서 영화처럼 표준근로 형태로 정착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날 전국언론노조 방송작가지부는 성명을 내고 “영화 <기생충>의 성과를 거울삼아 국내 방송사들도 비정규직 프리랜서 등 제작 스태프를 상대로 표준 계약서를 체결해 노동 인권 보장에 나서야 한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서민층인 기택(송강호)과 부유층인 박 사장(이선균) 두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영화 <기생충>은 오늘 30일 개봉한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