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환경부·인천시의 뒷북…"수돗물 마시면 안된다" 이제야 인정

비트팟 0 469 0 0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인천에서 계속되고 있는 `붉은 수돗물` 사태의 원인과 향후 조치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달 30일 오후 1시 30분쯤 인천시 서구 지역에서 "붉게 오염된 수돗물이 나온다"는 최초 민원이 접수됐다. 사고 발생 나흘 만인 2일부터는 영종 지역, 15일 만인 13일부터는 강화 지역까지 수도전에 끼워 쓰는 필터가 변색한다는 민원이 발생했다. 사고 발생 20일째인 아직까지도 민원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인천 지역 민심은 폭발했다. 특히 매뉴얼을 따랐다면 애초에 예방할 수 있었던 사고였고, 인천시가 초동 대응에 실패하면서 사태가 장기화됐다는 환경부 발표가 있자 "박남춘 인천시장을 주민소환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적수 피해를 가장 많이 본 지역으로 꼽히는 서구 지역 주민들은 "결국 인천시가 초동 조치를 잘못해 피해가 커진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인천시의 최종 책임자인 인천시장이 어떤 형식으로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민원을 가장 많이 제기한 서구 검암동 주민들은 "상수도 업무를 책임지는 상수도본부장과 그 직속 간부에 대한 직위해제 소식을 들었다. 당연한 조치다"면서도 "최종 책임자인 인천시장이 사과로 끝낼 일이냐"며 격앙된 반응을 쏟아냈다.

이번 사고는 공촌정수장에 원수를 공급하는 풍납취수장과 성산가압장이 전기 점검으로 인해 가동이 중지되면서 시작됐다. 인천시는 대신 인근 수산·남동정수장에서 물을 끌어다 썼는데, 이 과정에서 평소와 반대 방향으로 물을 역류시킨 것이 상수도관에 붙어 있던 각종 오염물질을 수돗물에 섞여 들게 했다는 것이다. 평소에는 공촌정수장에서 물을 끌어갈 때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을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공촌정수장 물을 끌어오지 못하게 되면서 수산정수장의 물을 대신 끌어오게 됐고, 이때 북항분기점에서 공촌정수장에 이르는 구간에서 역류가 발생한 것이다.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을 보내느라 압력을 강하게 가했고, 그 결과 상수도관에 있던 물때와 침적물이 떨어져나와 수돗물에 섞였다.

환경부는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고 했다. 매뉴얼에 따르면 상수도 수계를 전환할 때 부유물질에 대한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하고, 당분간은 부유물질이 빠져나오도록 소화전 등을 통한 배수를 했어야 함에도 인천시가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수계 전환 전에 수돗물 대체 공급을 위한 공급 지역 확대 방안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지역별 밸브 조작 위주로만 계획을 세웠고, 부유물질의 배수나 녹물이 발생할 것에 대비한 계획은 세우지 않았다.

부유물질에 대한 계획이 없었더라도 대응이 신속했으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수돗물이 지날 때 중간중간에 탁도계를 통해 부유물질의 양, 즉 탁한 정도를 측정한다. 인천시도 탁도계를 확인해 미리 대응했어야 했지만 탁도계 눈금이 올라가는 것을 보고도 제대로 대응하지 않은 것이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