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피하려다 찾아온 오염 강박, 병원에 가야 할까?
강박장애의 일종인 오염 강박에서 벗어나려면 사고-행동의 고리를 끊어 내는 게 중요하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염 강박은 강박장애의 일종이다. 바이러스, 세균 등에 노출되는 걸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오염 강박을 앓는 사람들은 피부가 틀 정도로 손을 씻거나 날이 더워도 오염 물질을 차단하려고 자신의 몸을 겹겹이 싸매는 모습을 보인다. 많은 시간이 드는 건 둘째 치고 정신적으로 쉽게 피폐해진다. 이러한 강박장애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정신의학회의 진단 기준에 따르면 강박장애는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으로 이뤄져 있다. 강박 사고는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이 원치 않는 방식으로 경험되며, 대부분 현저한 불안이나 괴로움 등을 동반한다. 오염 강박에선 주로 바이러스에 닿지 말아야 한다거나 닿는 즉시 소독해야 한다는 생각이 주를 이룬다.
강박 행동은 강박 사고를 해소하려는 노력이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대다수 강박 행동은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연결되지 않고 명백하게 과도한 경우가 많다. 강박 행동 뒤에는 강박 사고에서 벗어난 것 같은 일시적인 후련함이 들기도 하지만 결과적으로 강박 사고는 합리화되고 강화된다. 이렇게 생각-행동의 연결이 생기고 습관으로 이어지면 강박장애는 더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또 생각-행동에 시간을 쏟으면서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의 손실로 이어진다.
오염 강박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모든 강박장애와 마찬가지로 선천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개인의 성격 유형이나 경험 등과도 연관이 깊기 때문에 예방하기란 어렵다. 다만 강박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의 뇌를 분석했을 때 신경회로 영역에서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기저핵 및 대상회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세로토닌 조절이 잘 안 된다.
스스로 강박장애임을 인지하고 있다면 일상에서도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강박 사고가 행동으로 이어지는 걸 지연시키는 것이다. 강박 사고가 떠올랐다면 바로 행동하지 말고 생각의 내용을 종이에 써 내려간다. 15분 정도 ‘걱정 시간’을 정해 의도적으로 마음껏 걱정만 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렇게 지연하는 동안에 강박 행동이 얼마나 무의미한 것인지 떠올려본다. 다만 쉬운 일은 아니다. 만약 모두가 혼자서 강박 사고와 행동의 고리를 끊을 수 있었다면 강박장애 환자들은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증상이 심해서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라면 전문의를 찾는 게 좋다. 약물치료와 행동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약물치료로는 선택적인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특정한 삼환계 항우울제 등이 사용된다. 인지행동치료는 강박사고에 대한 인지적인 왜곡을 수정하고, 회피 행동을 줄인다. 제대로 치료를 받으면 90%의 환자가 1년 이내에 증상이 호전된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