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中 남성 인구, 1960년 대기근 이후 60년 만에 첫 감소..시진핑 정책 실패?

그래그래 0 230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사진=123rf

14억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중국의 인구 감소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60년 만에 처음으로 남성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국가통계국은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전체 인구가 14억 1260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지난 2020년 12월 대비 약 48만 명의 인구 증가가 있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출생한 신생아 수는 1062만 명이었으며, 사망자 수는 1014만 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매년 이 시기 한 차례씩 국가통계국이 공개해오고 있는 중국 인구통계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처음으로 남성 인구가 급감해 심각한 중국 내 인구 감소 문제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 중국 인구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7억 2311만 명, 6억 8949만 명으로 남성 인구가 여성보다 약 3362만 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100명 당 남성 104.88명 비율인 것으로 파악된 것.

특히 남성 인구가 2020년 12월 기준 7억 2357만 명이었던 것과 비교해 단 1년 만에 무려 46만 명이 감소했다는 점에 이목이 쏠렸다. 이는 지난 1962년 이후 60년 동안 중국에서 남성 인구가 급감한 첫 사례다. 1962년은 대약진 운동으로 중국의 대기근 문제를 촉발시켜 인구가 급감했던 1961년 이듬해였다는 점에서 사실상 남성 인구의 자연적인 감소는 1949년 신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창립 이후 처음 발견된 사례라는 분석이다.

단, 이번 조사에는 홍콩, 마카오, 대만 인구와 본토 내 외국인은 포함하지 않았다. 이 시기 중국 총인구 규모는 지난해 기준 48만 명이 증가하는 등 미미한 증가세를 보였던 반면 각 지역 별 인구 증감세는 대도시와 중소 도시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일부 3~4성 도시와 농촌의 상주 인구가 1선 대도시로 유출되는 현상이 뚜렷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도시와 농촌 인구 구성의 경우 지난 2020년 기준 도시를 중심으로 상주하는 인구 수는 9억 1425명으로 1년 전보다 1205만 명 증가했던 반면 농촌 상주 인구는 4억 9835명에 그쳐 약 1157만 명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시기 전체 인구 수 증가세를 미미했던 반면 상당수 중국인들이 도시로 이주해 상주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던 셈이다. 실제로 도시 인구가 전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시화율)은 무려 64.72%를 기록해, 지난 2020년 대비 0.83% 포인트 증가하는 등 중국인의 도시 편중 현상은 가속화됐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중국 전체 인구의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다는 점과 농촌 인구의 이탈로 인한 농촌과 소도시의 생활 수준을 평준화 할 수 있는 문제는 ‘공동부유’를 국정 전략으로 내 건 시진핑 국가 주석이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이다.

한편, 중국 사회과학원 도시경제학회 뉴펑루이 연구원은 “중국 전체 인구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면서 “상하이, 선전, 광저우 등 일부 동부 연안 도시로의 인구 유입은 앞으로도 크게 증가할 것이지만 중서부와 동북 지역의 인구 유출 현상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같은 성 안에서도 중소 도시와 농촌 인구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대도시로 유입돼 인구 분화 현상을 갈수록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