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스킨십형 vs 대화형... 어느 커플이 오래 갈까?

보헤미안 0 238 0 0


0000051964_001_20220627223101518.jpg?type=w647

한쪽이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른 쪽이 사랑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일치하는 연인은 관계 만족도가 높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이 좋은 연인이 되는 데 결정적인 건 스킨십일까, 대화일까. 최근 이런 식으로 관계에 접근하는 게 잘못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킨십이냐, 대화냐가 중요한 게 아니다. 연인이 어떤 방식을 선호하느냐가 관건이다. 연인이 원하는 ‘맞춤형’ 애정표현을 할수록 관계 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폴란드 바르샤바대 연구자가 주도한 국제 합동 연구팀은 연인 간 의사소통 방식이 관계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봤다. 연구팀은 연인 간 의사소통 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 ▲손잡기, 포옹 같은 ‘신체 접촉’ ▲칭찬, 고마움 등 애정을 전달하는 ‘언어’ ▲놀거나 대화하며 함께 보내는 ‘시간’ ▲커플링, 편지 같은 ‘시각적 상징물’ ▲연인이 필요로 할 때 주는 ‘도움’의 다섯 가지다.

연구에는 이성애자 연인 100쌍이 참여했다.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4년간 연인으로 지낸 사람들이었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연인이 다섯 가지 의사소통 방법 중 어떤 것을 실천했을 때 가장 사랑받는다고 느끼는지, 자신이 애정표현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묻는 말에 답했다. 이외에 관계 만족도와 공감능력이 측정됐다.

연구 결과, 연인 중 한쪽의 사랑 표현 방식이 상대가 받고 싶어 하는 표현과 비슷할수록 관계 만족도가 높아졌다. 연인이 원하는 방식대로 사랑해 줬을 때 사이가 좋아졌다는 뜻이다. 모든 문항에서 남성보단 여성이 매긴 점수가 대체로 높아, 남성보다 여성이 정서적 표현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연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만 집중한다면, 여성은 둘 사이 사랑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길 원하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진의 추측이다.

공감능력과 관계 만족도 사이엔 별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애정 표현 방식은 상대의 감정에 공감하는 능력보단 ‘의사소통 기술’과 관련되며, 훈련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상대방이 어떻게 말하거나 행동했을 때 사랑받는다고 느끼는지, 연인에게 직접 알려주는 게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2일 오픈 액세스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 게재됐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