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3

Sadthingnothing 0 545 0 0
북한서 탈출해 중국 국적 취득 후 480만원 지원금 받아

북한에서 탈출한 뒤 중국 국적을 취득하고도 국내에서 탈북자로 신분을 위장해 정착지원금을 타낸 혐의로 기소된 북한이탈주민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도 무죄가 선고됐다. 

2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4부(홍진표 부장판사)는 이날 북한이탈주민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북한이탈주민 A씨의 항소심에서 1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어떤 국가로부터 국적자처럼 사실상 대우받았다는 사정이 곧바로 법률상 국적의 취득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검사는 A씨가 탈북 후 중국 국적법에 따른 국적회복절차를 거쳐 중국 국적을 회복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판단을 전제로 "A씨가 법률상 중국 국적을 상실했음에도 공안기관이 이를 알지 못한 채 호구부 등을 근거로 A씨를 사실상 중국 국적자로 대우했을 개연성이 상당하고, A씨가 중국 국적을 회복한 중국 국적자라는 사실은 합리적 의심의 여지없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A씨는 북한에서 중국으로 탈출해 중국 국적을 취득한 뒤에도 2008년 한국에 입국해 탈북자라고 자수해 총 480만원의 정착지원금을 부당하게 지급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은 1960년 중국에서 태어난 A씨가 1975년 북한으로 이주해 생활하다 2001년 다시 중국으로 탈출해 중국 국적을 회복한 것으로 파악했다.

북한이탈주민법은 북한이탈주민이 아닌데도 부정한 방법으로 정착지원금을 받은 경우 형사처벌하도록 한다. 탈북한 뒤 외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북한이탈주민이 아니라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1심은 "A씨가 중국 국적자라는 사실이 증명되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한편 한국에서 생활하던 A씨는 2010년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들을 데려오기 위해 몰래 중국에 입국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외교 당국은 A씨가 중국 국적자라는 중국 측 자료를 신뢰해 A씨에 대한 외교적 보호를 중단했고, 결국 A씨는 귀국하지 못한 채 중국을 떠돌다 2012년 가족들을 탈북 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어 그는 중국과 태국을 거쳐 재입국을 시도했다.

하지만 정부는 A씨가 중국 국적자라는 이유로 가족들만 입국을 허가하고 A씨를 중국으로 추방했다. 이후 A씨는 2015년에야 한국으로 돌아왔으나 검찰은 2016년 7월 A씨를 부정한 방법으로 정착지원금을 받은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

데일리안 스팟뉴스팀 (spotnews@dailian.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