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위중증·사망 53%는 미접종자… "백신은 필수"




방역당국이 최근 8주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의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절반 이상이 미접종자라며 백신효과를 재차 강조했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4일 최근 8주간(1031~1225일) 위중증 환자의 53.1%, 사망자의 53.2%가 미접종자라고 밝혔다. 미접종자는 미접종자와 1차접종 완료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위중증 환자 3598명 중 미접종자는 1819명(50.6%), 1차 접종완료자는 91명(2.5%)이었다. 사망자 1818명 중 미접종자는 891명(49.0%), 1차 접종완료자는 76명(4.2%)으로 백신을 한 번도 맞지 않은 사람이 절반을 차지했다.

이날 0시 기준 2차접종까지 완료한 국민은 83.1%, 18세 이상 성인 기준은 93.8%다. 3차 접종률은 전체 국민의 37%, 성인 기준 42.8%, 60세 이상 고령층은 78.3%를 기록했다.

중대본은 "미접종자를 감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며 "예방접종과 방역패스는 미접종자의 감염을 줄이기 위한 필수 조치"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최근 방역패스와 관련해 논란이 커지는 것과 관련해 목적의 불가피성을 양해를 당부하면서도 예외 범위에 대해서는 개선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마트·백화점까지 방역패스를 적용하면 기본권 침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방역패스는 미접종자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 조치이자 의료체계 여력을 보전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접종자 감염을 차단할 수록 사망·중증화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의료체계 여력이 보존되면 보다 많은 확진 규모를 견디며 일상회복을 진행할 수 있다"며 "이런 전반적인 목적 때문에 방역패스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통령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총괄조정팀장도 4일 오후 백브리핑에서 백신 효과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정 팀장은 "접종효과를 분석하면 미접종군에 비해 접종군이 감염도 적게 걸리고 위중증과 사망이 적다는 것이 명확하다. 접종완료군이 미접종군에 비해 감염위험 2.3배 감소, 중증화와 사망 위험은 각각 11배와 9배 감소한다"고 말했다. 

이어 "백신을 도입하지 않았다면 유럽이나 중국의 초기 유행 수준처럼 높은 사망률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