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철책' 월북자 1명에 경계·장비·보고·작전까지 모두 뚫렸다


탈북민 김모씨가 지난 1일 강원도 동부전선 최전방 경계부대의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는 과정에서 5차례나 감시카메라에 포착됐으나 당시 군은 이를 모두 놓친 것으로 확인됐다.

군은 이에 앞서 김씨가 해당 지역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에 접근하는 걸 보고 경고방송까지 했으나 그 뒤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김씨가 비무장지대(DMZ)에 진입한 뒤엔 '월북'이 아닌 '귀순' 상황으로 오인해 신병확보를 위한 작전을 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해당 군부대 관계자들의 감시 장비 운영규정을 지키지 않고, 관련 상황 보고를 누락한 사실 등까지 드러나 대대적인 문책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합동참모본부가 5일 발표한 이번 월북상황 관련 현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탈북민 김씨가 '월북 루트'로 택한 강원도 고성 지역 육군 제22보병사단 관할 구역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건 1일 낮 1251분이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군은 이때 김씨가 민통선 이남에서 민통초소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폐쇄회로(CC)TV 카메라를 통해 확인한 후 경고방송을 했고, 김씨는 곧바로 인근 마을 쪽으로 되돌아갔다고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군은 김씨의 신원확인 등을 위한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신원확인은 (거동수상자가) 초소에 접근할 때 한다"며 "(김씨를) CCTV 카메라로 확인한 지점과 초소 간에 거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씨가 군 GOP 철책을 넘은 건 같은 날 오후 6시36분쯤이다. 합참은 김씨가 우리 군의 경고방송을 들은 뒤 민통초소를 우회해 GOP 지역까지 접근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씨는 이 과정에선 우리 군의 감시 장비에 1차례도 포착되지 않았다.

김씨가 GOP 철책을 오르내리는 모습은 현장에 설치돼 있는 우리 군 감시카메라 3대에 모두 5차례에 걸쳐 찍혔으나, 당시 감시병은 이를 모두 놓쳤다. 또 김씨가 GOP 철책을 넘는 과정에서 우리 군 과학화경계체계의 경고음이 울려 현지 군부대 소대장 등 초동조치조 6명이 출동했음에도 역시 김씨의 월책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전동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022.1.5/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군은 이후 경보음에 발생한 철책 현장의 감시카메라 녹화영상을 되돌려 보기도 했지만, 이땐 녹화영상 저장서버의 시계 설정이 잘못돼 있어 김씨가 철책을 넘기 4분 전, 즉 오후 6시32분까지의 영상만 살펴보고 '특이상황이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그리도 해당 대대 지휘통제실장은 자체적으로 '상황 종료'를 결정하고 상부에 보고하지도 않았다.

이에 대해 합참 관계자는 "감시카메라 등을 관리하는 메인서버와 영상저장 서버의 시계를 하루 2차례 동기화하도록 돼 있는 규정이 지켜지지 않았다"며 "대대 지통실장도 철책에서 경보음이 울렸을 땐 대대장과 상급부대에 보고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당시 철책 경보음 발생 등의 상황을 보고받지 못한 GOP 대대장은 1일 오후 9시17분쯤 김씨가 DMZ에 들어선 모습이 우리 군 열상감시장비(TOD)에 식별됐을 땐 월북이 아닌 귀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작전병력을 투입했다.

대대장은 그 뒤 김씨의 이동경로를 보고 월북 가능성까지 감안한 작전으로 전환하긴 했지만, 김씨는 오후 1049분쯤 군사분계선(MDL)을 넘었고, 2일 오전 0시48분쯤엔 TOD 시야에 사라졌다. 즉, 김씨가 민통선 인근 처음 나타난 후 MDL을 넘기까지 약 10시간 동안 군의 경계·감시와 작전 수행 모두 실패로 돌아갔단 얘기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