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병상·위중증 환자' 안정화 돌입… "방역패스는 필수 조치"


정부와 방역당국의 병상 확충 노력과 위중증 환자의 감소세로 급박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점차 안정되는 모습이다. 다만 새 변이 오미크론 관련 사망자가 국내에서도 나타났고 거리두기 종료 후 유행사태 예측이 어려워 막연하게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확진자는 사흘째 3000명대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 3024명은 전날인 3일의 3126명보다 102명 감소했고 일주일 전인 1228일의 3864명 대비 840명 감소한 수치다. 2주 전인 지난달 21일 5194명에 비해서는 2170명 급감했다.

연일 1000명 이상을 기록하던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보다 42명 감소한 973명을 기록했다. 지난 1222일 1022명을 기록한 후 15일만에 다시 1000명 아래로 내려간 셈이다.

병상 가동도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전담병상은 총 1만7986개가 운영 중이다. 이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한 지난해 11월1일 1만1594개에서 6392개 더 늘어난 것이다.

중환자 전담 치료병상은 1083개에서 558개 늘어 총 1641개다. 준중증 병상은 455개에서 1231개 늘어 총 1686개다. 중등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1만56개에서 4603개 더 늘어 총 1만4659개가 운영 중이다.

전체 병상수로 보면 지난 11월 1일 1만1594개 병상에서 1월 4일 1만7986개 병상으로 6392 병상을 추가로 확보해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병상이 2달새 55.1% 증가했다. 이 영향으로 이날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4%로 6일째 60%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정부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방역패스 논란에 대해서 상황의 불가피성을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 방역패스 관련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사진=뉴시스
"방역패스 불가피성 이해해달라… 미접종자 보호 조치"
정부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방역패스 논란에 대해서 상황의 불가피성을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마트·백화점까지 방역패스를 적용하면 기본권 침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방역패스는 미접종자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 조치이고 의료체계 여력을 보전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다.

실제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최근 8주간(1031~1225일) 분석한 결과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절반 이상이 미접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위중증 환자 3598명 중 미접종자는 1819명(50.6%), 1차 접종완료자는 91명(2.5%)이었다. 사망자 1818명 중 미접종자는 891명(49.0%), 1차 접종완료자는 76명(4.2%)으로 백신을 한 번도 맞지 않은 사람이 절반을 차지했다

손 반장은 "미접종자 감염을 차단할 수록 사망·중증화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의료체계 여력이 보존되면 보다 많은 확진 규모를 견디며 일상회복을 진행할 수 있다"며 "이런 전반적인 목적 때문에 방역패스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의학적 이유의 방역패스 예외 규정에 문제가 있다면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는 ▲백신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을 일으킨 경우 ▲항암제·면역억제제 투여자 ▲백신 구성물질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등에 예외가 적용되고 있다.

손 반장은 "질환이나 의료 부작용 등으로 접종하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예외 확인 범위에 대해서 현장 의견을 들어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 현재 질병청에서 검토하고 있다"면서 "의학적 전문성에 입각한 논의가 필요한 부분인 만큼 여러 전문가와 함께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일각에서 제기되는 4차접종 가능성에 대해서 면역저하자와 고령층을 대상으로 검토를 하고 있으나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1220일 울산 북구 고헌초등학교에서 6학년 한 학생이 화이자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4차접종 여러 사례 검토… 올해 고3도 방역패스 유효기간 대상"
일각에서 제기되는 4차접종 가능성에 대해서는 면역저하자와 고령층을 대상으로 검토를 하고 있으나 정해진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 확산으로 면역저하자와 고령층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4차접종 도입 여부에 대해 "지금 질병청에서 검토를 하고 있는 사항"이라며 "3차접종률 추이 등을 보면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만 면역저하자의 경우 2, 3차까지 접종을 해도 면역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접종 여부에 대해 전문가들과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면역저하자란 급성백혈병, 면억 억제 치료 중인 환자 등 면역 형성이 어려운 18세 이상 성인 등을 말한다.

현재 공식적으로 4차접종을 시작한 나라는 이스라엘이다. 요양시설 내 고령층과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먼저 접종을 시작한 이스라엘은 최근 의료진과 고령층 전체로 접종 대상을 확대한다.

손 반장은 "아직 4차접종 여부도 미정인 상태이며 현재 3차접종을 본격화하고 있는 시기"라며 "앞으로 우세종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는 오미크론에 대해서 현재 우리 예방접종이 어느 정도 효력이 있을지 추가적인 분석도 필요하다. 4차접종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외국의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관찰하고 있는 단계로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올해 고3이 되는 만 18세 청소년(2004년생)도 오는 3월부터 6개월(180일)간의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유효기간이 적용된다. 학원, 스터디카페, 독서실 등 방역패스 적용 시설을 이용 수요가 높은 연령대인 만큼 해당 청소년의 코로나19 백신 3차접종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위기소통팀장은 4일 오후 비대면 온라인 간담회에서 "3차접종 대상은 방역패스 유효기간 적용 대상"이라며 "2004년생은 올해 1월1일부터 3차접종 대상이 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방역패스 유효기간제) 대상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현재 3차접종은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새해가 되면서 올해 만 18세가 되는 고3 2004년생은 3차접종이 가능해졌다. 이에 이 연령의 청소년들은 방역패스가 적용되는 학원, 독서실, 스터디카페 등을 이용하려면 유효기간이 도래하기 전에 3차접종을 하거나 72시간내 검사한 음성확인서를 소지해야 한다.

고 팀장은 "표준접종 일정에 따라 가장 빠르게 지난해 1018일 1차접종, 11월 1주차에 2차접종을 했다면 (방역패스가) 오는 5월7일까지 유효하고 5월8일 181일차가 돼 효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