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먹는 코로나 치료제 승인, 환자치료 어떻게 바뀌나

북기기 0 173 0 0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긴급사용 승인하면서 향후 환자치료 형태도 다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식약처 및 전문가에 따르면, 복용이 편리한 먹는 치료제가 도입되는 만큼 팍스로비드가 환자치료에 우선적으로 쓰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는 “팍스로비드의 경우 예상했던 것보다 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먹는 치료제가 나온다면 현재 의료계가 짊어지고 있는 심각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급에 따라 초기 투약 환자군을 미접종 고위험군으로 선정하고 비용효과적인 순서대로 처방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도 “수급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군 등 사용에 우선순위가 있을 것”이라며 “누구든지 확진된 경우 팍스로비드를 처방받길 원할 거 같다. 다른 치료제보다 우선적으로 처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김탁 교수는 “초기에 (팍스로비드를)투여하는 경우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감소시켜 의료부담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만 공급량이나 가격 때문에 투여 대상을 제한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질병관리청과 식약처는 내년 1월 말부터 팍스로비드가 국내에서 처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옥수 중앙방역대책본부 자원지원팀장은 이날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먹는 치료제는 정부가 구입 후 병원, 약국 등에 공급해 재택환자와 생활치료센터, 필요 시 치료병원에서 공급받아 사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공급계획과 현장 사용계획은 아직 발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어떤 환자에게 먼저 투여하고, 어떻게 처방할 것인지 등 명확한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대목동병원 천은미 호흡기내과 교수는 “지금 확진자가 하루에만 수천 명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 어떻게 처방할 것인지를 정하기 위해 제대로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며 “팍스로비드는 간이나 콩팥에 문제가 있는 일부 환자들이나 일부 다른 치료제를 함께 사용하는 환자에게는 처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의료진이 환자마다의 병력 등을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외래진료센터를 지금보다 훨씬 활성화시켜야 작업이 빠르게 될 수 있다”며 “이제 코로나를 독감처럼 생각하고 팍스로비드를 독감치료제 '타미플루'처럼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팍스로비드는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되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로, 단백질 분해효소(3CL 프로테아제)를 차단해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을 막아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의약품이다.

식약처는 팍스로비드가 경증~중등증의 고위험 비입원환자 2246명 대상 임상시험에서 증상발현 5일 이내 투여했을 때 입원 및 사망환자 비율이 88% 감소했다고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니르마트렐비르 정제(타원형 분홍색의 필름코팅)와 리토나비르(흰색의 장방형 필름코팅) 정제가 함께 포장된 제품으로, 환자는 니르마트렐비르 300㎎(150㎎ 2정)와 리토나비르 100㎎(100㎎ 1정)를 함께 1일 2회(12시간마다) 5일간 복용해야 한다. 연령·기저질환 등으로 중증 코로나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및 중등증의 성인·소아(12세 이상, 체중 40㎏ 이상) 환자가 대상이다.

부작용은 미각이상, 설사, 혈압상승 및 근육통 등으로, 대부분 경미한 증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간장애와 신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부정맥이나 고지혈증, 통풍, 협심증과 같은 질환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있어 의료진과의 상담이 필요하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