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정부, 코로나 병상 9200개·의료인력 1200명 추가 확보키로…“일반 진료·수술 차질 불가피”



정부가 다음달 말까지 코로나19 병상 9200개를 추가 확보하고 1200명의 의료진을 추가 배치하는 등 코로나19 대응에 의료 역량을 총동원키로 했다. 이를 통해 하루 1만명 규모의 신규 확진 발생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현장에선 “다소 늦었지만 불가피한 수순”이라는 평가와 함께, 코로나19 외 다른 환자들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응급 환자나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가 22일 추가로 확충하겠다고 밝힌 코로나19 병상은 중환자 병상(준중환자 병상 포함) 1578개와 중등증 환자 병상 5366개 등 총 6944 병상이다. 현재 국내 확보된 병상은 중환자 병상 2306개, 중등증 환자 병상 1만3197개로, 당초 정부가 12월 중 추가 확보키로 계획한 병상(중환자 203 병상·중등증 2052 병상)까지 고려하면 1월 말까지 총 9199 병상이 추가되는 셈이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3차 접종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중증화율 2.5%와 현재 입원율 18.6%를 가정해도 하루 1만 명 확진자가 반복되는 상황을 감당할 수 있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중환자 병상은 공공병원과 국립대 병원에서 대거 확충된다. 정부는 우선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추가 병상 동원 행정명령을 내려 중환자 병상 414개와 준중환자 병상 208개를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앞서 ‘비상 체제 운영’을 선언한 서울대병원을 필두로 국립대병원에서만 308개의 중환자 병상이 추가된다. 국립중앙의료원과 서울의료원 등 일부 공공병원은 병상 전체를 비워 코로나19 환자 치료에만 전념해 9개의 중환자 병상과 490개의 준중환자 병상을 마련한다.

병상의 대부분을 코로나19 진료에 집중하는 거점 전담병원도 20여 곳이 추가된다. 이로 인해 확보되는 병상은 총 3000 병상으로, 중환자·준중환자 병상 각 300개와 중등증 환자 병상 2400개가 늘어난다. 거점 전담병원 내에는 투석환자 및 임산부 등을 위한 병상도 설치된다. 이밖에도 정부는 감염병 전담 요양병원과 전담 정신병원 등 특수 병상도 각 650개, 100개씩 늘리고 대학교 기숙사와 공공기관 연수원 등을 활용해 생활치료센터도 2412 병상을 추가로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병상 운영을 위한 의료 인력도 추가 배치된다. 정부는 최소 필요인력을 제외한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등 의사 104명을 코로나19 중환자 진료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중증환자 전담 간호사 256명도 대한간호협회에서 실시하는 중환자 전문 교육을 거쳐 내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코로나19 중환자실에 추가 배치된다. 기타 파견 인력까지 고려하면 현장에 배치되는 신규 간호 인력은 1107명에 달한다. 정부는 코로나19 진료에 투입되는 의료진을 위해 개인 당 월 150만원 가량의 감염 관리 수당도 신설해 지급할 계획이다.

병상이 코로나19 치료에 대거 동원되면서, 일각에선 일반 환자들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부수적인 의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취약 계층을 진료하는 공공병원이 모든 의료자원을 코로나19 치료에만 집중키로 하면서 이들에 대한 의료 공백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병원에 따라서는 꼭 필요한 수술이 밀리는 경우가 나올 수도 있다. 수술이 지연되는 환자가 이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다소 시급성이 떨어지는 수술 등에서는 불가피하게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며 “취약계층을 위한 최소 진료는 계속 유지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