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물 내리기전 잘 보세요…색 진해졌다면 위험!

보헤미안 0 205 0 0


소변량 줄면 콩팥 건강 악화
수분섭취 늘려 탈수 막아야

정상인은 지린내 거의 없어
옅은 맥주 빛깔이어야 정상

진갈색 오줌 나오면 단백뇨
소량이라도 방치하면 안돼

 

0004955520_001_20220426232101035.jpg?type=w647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소변은 몸 안에서 여러 물질이 대사된 후 이들을 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콩팥에서 노폐물이 걸러지면서 만들어진 소변은 방광에 저장돼 있다가 요도를 거쳐 배출된다.

소변의 90% 이상은 물이다. 이 밖에 아미노산, 요산, 요소, 무기염류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비슷한 과정으로 만들어지는 땀과 성분 차이도 크지 않다. 보통 땀은 수분 비율이 99%, 소변은 90% 정도이고, 소변에는 요소가 포함된다는 점이 다르다.

건강한 성인의 하루 소변량은 1~1.5ℓ다. 보통 1회 350㎖의 소변을 배출한다. 배뇨 횟수는 계절과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보통 성인은 하루 5~6회다.

신석준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소변을 단지 노폐물의 일부로 생각하지만 사실 소변은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며 "소변의 양, 색깔, 냄새, 혼탁도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우리 몸에 생기는 각종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소변량이 줄어드는 것은 콩팥에 직접적인 해가 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충분한 수분 섭취로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콩팥 건강에 중요하다. 혈액 심박출량의 4분의 1이 콩팥으로 가게 되는데, 어떤 원인이든 콩팥으로 가는 수분의 양이 적어지면 소변량은 줄어들게 된다. 무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거나 심장이 제 기능을 못할 경우, 출혈·감염 등 쇼크로 인해 혈액을 충분히 콩팥으로 보내지 못하면 소변량은 줄어든다. 급성이나 만성으로 콩팥 자체가 망가져 기능을 못해도 마찬가지다.

정상적인 소변은 냄새가 거의 나지 않고 약한 산성을 띤다. 만약 소변에서 암모니아 냄새가 심하게 난다면 탈수에 의해 농도가 짙어진 탓일 수 있다. 그 밖에 퀴퀴한 냄새는 간질환이나 대사장애 때문일 수 있고, 달콤한 냄새는 일반적으로 대사장애가 원인이지만 간혹 당뇨병을 의미할 수 있다.

소변의 정상 pH 농도(산염도)는 4.6~8이다. 소변의 산성도가 심해져 pH가 4.6 이하로 측정되면 고단백식 섭취, 대사성 또는 호흡성 산증, 기아 상태 등을 의미한다. 대사성 또는 호흡성 알칼리증, 채식, 암모니아 생성 세균 감염의 경우 소변이 알칼리성으로 변해 pH가 8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요의 비중(Urine-SG)도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요의 비중은 소변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들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정상 범위는 1.016~1.022다. 요의 비중이 1.000인 경우는 소변에 아무것도 녹아 있지 않음을 뜻한다. 요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소변에 많은 물질이 녹아 있거나 소변의 수분량이 부족해 상대적으로 물질의 비중이 높아진 경우이다. 아침 첫 소변은 요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 외 질병으로 요의 비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심한 탈수, 당뇨병 때문이다. 반대로 요의 비중이 감소할 때는 수분 섭취를 과도하게 많이 하거나 콩팥 세뇨관 손상으로 소변이 농축되지 않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신 교수는 "보통 하루 150㎎ 미만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소변 내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콩팥 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다. 소량의 단백뇨라도 방치하게 되면 콩팥 기능이 빠르게 악화할 수 있는 만큼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0004955520_002_20220426232101072.jpg?type=w647

정상적인 소변색은 맑은 황갈색으로 옅은 맥주 빛깔을 띤다. 소변색은 소변의 농축 정도와 성분에 따라 결정되는데 적혈구의 대사산물인 빌리루빈(Bilirubin)이 간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약한 노란색을 띠게 된다. 간염 등으로 황달이 심해지면 소변도 진한 노란색이 된다.

마라톤이나 행군, 장시간 등산 후 근육통과 함께 진한 갈색 소변을 볼 수 있는데 간혹 근육세포 파괴로 나온 미오글로빈(myoglobin)이 배설될 때 나타날 수 있다.

콜라 색깔의 짙은 소변은 급성신장염이 생겨 적혈구가 과다하게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나타난다. 새빨간 혈뇨는 대개 급성방광염에서 올 수 있고, 흡연하는 고령의 남자라면 방광암이나 신장암을 의심할 수 있다. 옆구리나 하복부의 격렬한 통증이 동반한다면 요로 결석이 원인일 수 있다.

신 교수는 "소변에는 적혈구가 검출되지 않는 게 정상이지만 소변으로 적혈구가 배출돼 소변이 붉어지는 경우 콩팥이나 요로계 질환, 출혈성 성향 등이 있음을 암시한다"며 "혈뇨가 있다고 진단되면 외상성 요로계 손상, 신장 또는 요로결석, 방광염, 방광암, 신장암 등이 있는지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