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대영박물관도 가짜인 줄 알았던 도자기, 알고보니 희귀 中 황실 청자

그래그래 0 251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20일 세계적인 문화예술전문지 ‘아트 뉴스페이퍼’에 따르면 대영박물관은 임대 형식으로 보관하고 있던 도자기 한 점이 중국 송나라 시대 여요(汝窯) 청자인 것을 확인했다.

모조품인 줄 알았던 도자기가 전 세계에 단 100점뿐인 중국 황실 도자기였다고 영국 대영박물관이 밝혔다. 20일 세계적인 문화예술전문지 ‘아트 뉴스페이퍼’에 따르면 대영박물관은 임대 형식으로 보관하고 있던 도자기 한 점이 중국 송나라 시대 여요(汝窯) 청자인 것을 확인했다.

청자는 대영박물관 큐레이터를 지낸 영국 도자사학자 레지나 크랄의 예리한 눈에 띄어 황실 도자기임을 인정받았다. 대영박물관 중국 도자기 큐레이터 제키사 해리슨홀은 “크랄 박사 제안으로 도자기를 다시 들여다본 결과, 1086년~1125년 중국 송나라 때 유명 가마 ‘여요’에서 만들어진 희귀 청자로 판명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크랜필드대학교 법의학연구소장 앤드류 쇼트랜드는 “비파괴 X-선 형광분석법으로 여요 청자와 모조품을 각각 비교 분석한 결과, 도자기에서 여요 청자의 특성이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여요는 송나라 때 5대 명요(名窯, 유명 가마) 여요·관요·가요·균요·정요 중 으뜸으로 꼽힌다. 궁중에서 사용하는 기물을 만드는 관요(管窯)였기에, 여요에서 만들어진 황실용 청자는 구경조차 어렵다. 더욱이 여요가 관요로 기능한 게 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아 여요 청자는 극도로 희귀하다.

여요 청자는 마노(석영질의 보석)를 갈아넣은 유약을 발라 윤이 나고 겉면이 부드러운 게 특징이다. 가끔 질이 떨어지는 자기만이 밖으로 돌았을 뿐이라, 오늘날까지 온전하게 남아 진귀한 예술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100점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전 세계 청자 가운데 가장 희귀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평가받는 여요 자기는 희소성만큼 그 가치도 매우 높다. 2017년 홍콩 소더비 경매에 나온 붓 씻는 용도의 손바닥만 한 여요 접시 1점은 431억 원에 낙찰, 도자기 경매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역시 붓 씻는 용도의 접시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는 세계적인 중국 도자기 수집가 퍼벌 데이비드 컬렉션 일부다. 영국령 인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데이비드는1923년 중국 방문 후 도자기에 매료돼 평생 연구와 수집에 매달렸다. 그의 컬렉션은 10~18세기 송, 원, 명, 청나라 도자 약 1700점이며 대영박물관이 그 일부를 임대 형식으로 보관 및 전시 중이다.

청자의 가치는 1970년대 들어 하향 평준화됐다. 1920년대까지만 해도 여요 청자로 추정됐으나, 다른 여요 청자와 다른 유약의 회색빛과 가마의 지지대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을 정도로 거칠게 다듬어진 밑면 때문에 모조품 취급을 받았다. 그 후로 오랜 시간 묻혀 있던 청자는 최신 법의학 기술로 그 진가가 드러났으며, 경제적 가치 역시 1500파운드(약 24만 원)에서 1500만 파운드(약 24억 원)로 1000배 높아졌다.

수십 년 만에 여요 청자로서의 진가가 확인되자 퍼벌 데이비드 재단 이사장 콜린 시프는 “중국 도자기 전문가들과 법의학 분석가의 협업이 이뤄낸 성과”라면서 “개인 소장품 가운데 가장 위대한 보물을 찾았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