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日크루즈 '한국인 이송' 뒤늦은 결단…정부 "국민보호 도리"(종합)

비공개 0 456 0 0


[머니투데이 최태범 기자][요코하마=AP/뉴시스]14일 일본 도쿄 인근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유람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갑판에 마스크를 쓴 승객들이 나와 있다. 승객과 승무원 약 3500명이 탑승한 이 유람선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218명으로 늘어나면서 일본 정부의 대처에 대해 국제사회의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은 80세 이상 고령자와 지병이 있는 탑승자 등에 대해 코로나19 검사 후 음성으로 확인되면 이들을 먼저 하선시킨다는 계획이다. 2020.02.14.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집단 발병이 발생한 일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안에 격리된 한국인 14명 중 귀국의사를 밝힌 국민들에 대해 국내 이송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동안 ‘국내 이송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다가 미국·홍콩·대만·캐나다·이스라엘 등 다른 나라들이 전세기를 보내 자국민을 데려오겠다는 방침을 잇달아 발표하자 입장을 바꾼 셈이다. ‘뒤늦은 결단’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16일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회의결과 브리핑에서 “정부는 오는 19일 격리해제 이전이라도 일본 당국의 조사결과 음성으로 확인된 우리 국민 승객 중 귀국 희망자가 있다면 국내 이송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내 이송 안한다더니…선내 확산, 주변국 상황에 영향


박 장관은 “우리 국민 의사를 정확히 파악한 후 일본 정부와 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귀국 여부와 관계없이 크루즈선 내 계신 국민들은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상시연락과 편의제공 등 영사조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그동안 크루즈선 내 한국인 중 국내 거주자는 3명뿐이라는 이유를 들며 이송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하지만 선내 환자들이 속출하고, 다른 나라들이 전세기를 보낸다고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상황이 겹치면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브리핑에 배석한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은 정부 방침이 바뀐데 대해 “국가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분이 있다면,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 도리”라며 “귀국의사를 밝힌 분들이 몇 분 있고 정확한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계속 연락을 취해나가겠다”고 했다.
 

“지역사회 전파 대비한 방역관리 강화방안 만들 것”


[서울=뉴시스]김근현 기자 = 신열우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이 13일 서울 강서소방서를 방문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의심환자 이송을 위한 전문구급대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제공) 2020.02.13. photo@newsis.com정부는 앞으로 해외 여행력이 없더라도 의사의 소견이 있으면 진단 검사를 실시하고, 원인 불명의 폐렴으로 입원 중인 환자들에게도 여행력과 무관하게 진단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날 확인된 국내 29번째 확진 환자 사례를 고려한 조치다.

29번 환자인 82세 한국인 남성은 중국을 방문한 경험도 없었고 기존 확진 환자의 접촉자도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보건당국의 방역망 밖에서 확인된 첫 환자라 지역사회 전파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

박 장관은 “감염예방 조치가 원활하게 이뤄지는지 합동점검단을 만들어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교육도 실시하겠다”며 “이밖에 지역사회 전파에 대비한 방역관리체계 강화방안을 검토해 중수본 회의를 거쳐 발표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교육부 "입국 어려운 중국 유학생은 1학기 휴학 권유"


[서울=뉴시스]홍효식 기자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수화통역사, 유은혜 교육부 장관. 2020.02.16. yesphoto@newsis.com정부는 입국 예정일과 국내 거주지가 확정되지 않은 중국 체류 유학생에게는 1학기 휴학을 권고하기로 했다. 개강을 앞두고 중국에서 입국한 유학생은 입국 후 2주간 등교가 강제 중지된다. 중지 기간에는 외부 접촉과의 최소화를 위해 학생증도 정지된다.

교육부에 따르면 국내 대학에서 공부하는 중국인 유학생은 7만1067명이다. 1만9742명이 지난해 12월 1~14일 사이 중국에서 입국해 국내 체류 중이다. 중국 국적의 유학생이 1만9022명이고 720명은 다른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이다.

앞으로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은 입국 절차에 따라 크게 △입국 시 △입국 후 14일 △14일 종료의 3단계로 관리된다. 교육부는 자가격리 기간 대학 기숙사 공간이 부족할 것에 대비해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시설과 숙박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한중 학생 간 상호이해와 협력증진이 필요하다”며 “각 대학이 학교별 유학생회, 교직원, 학부모회 간에 협력채널을 운영 중인데 해당 모임 간 소통을 높여 불필요한 우려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우한 실험실’ 코로나19 전파?…정부 “음모설” 일축


정부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중국 우한시의 화난 해산물시장이 아닌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유출됐을 것이란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의례적인 음모설’이라고 일축했다.

홍콩 언론에 따르면 중국 광둥성 광저우의 화난이공대학 생물과학 및 공정학원의 샤오보타오 교수는 지난 6일 글로벌 학술 사이트인 리서치 게이트에 발표한 논문에서 코로나19가 ‘우한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은 “하나의 큰 감염병이 발생해 확산하면 으레 여러 가지 음모설과 주장들이 나온다”며 “정부 차원에서 면밀히 보고는 있지만, 사례 자체를 정확히 확인하기전에는 어떤 입장도 밝히는 게 부적절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일반적으로 제기된 우한 시장에서 나왔던 것, 박쥐나 또 다른 제3매개체를 통해 나왔다는 것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두고 여러 검토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