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물가 10년 만에 최대·최장 고공행진, 월급 빼고 다 오른다

1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3.6% 올랐다. 10년래 최대·최장 인플레이션(고물가)이다.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한탄이 크게 틀리지 않았다. 외식비·공공요금·주거비·석유류·농수산물 등이 일제히 큰 폭으로 올랐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해소되지 않고,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보고 있어 고물가 행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69(2020=100)로, 1년 전과 비교해 3.6% 뛰었다. 지난해 11월(3.8%)과 12월(3.7%)보다는 낮고 10월(3.2%)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4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한 건 2012년 2월 이후 처음이다. 10년 만에 가장 긴 기간 인플레이션이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소비자물가는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3%대 이상을 기록한 뒤, 2%대 이하에서 움직이다가 지난해 10월(3.2%) 9년 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정부가 가격 인상을 제한할 수 있는 교통·주류·담배와 일부 채소류를 제외하고 지난달 안 오른 항목이 없다. 오름세도 심상치 않다.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5.5% 올랐다.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외식 가격 상승은 전체 물가 상승(3.6%) 중 0.69%포인트를 차지했다. 품목별로 나눴을 때 가장 큰 비중이다. 햄버거·커피 등 유명 프랜차이즈는 물론 개인 식당까지 줄줄이 가격표를 갈아치운 탓이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식당의 지나친 가격 인상은 소비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큰 폭으로 조정하지 않는다는 게 통념이지만,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한계에 다다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농축수산물은 6.3% 올랐다. 이 중에서도 생선회(9.4%), 쇠고기(8%), 돼지고기(10.9%), 달걀(15.9%)이 크게 올랐다. 딸기(45.1%) 등 농산물도 4.6% 올랐다.

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고 있는데도 전기·가스·수도료(2.9%) 역시 상승했다. 같은 집에 그대로 살면서 전기·가스·수도를 지난해와 똑같이 사용해도 더 많은 돈을 내는 상황이 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7월 전기요금 필수 할인공제가 축소되고 10월 연료비 조정단가가 인상된 영향이 지속되면서 전기요금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난달에는 물가의 기조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상승률도 3%에 달했다. 근원물가가 3%대로 올라선 건 10년 전인 2012년 1월 이후 처음이다. 근원물가는 계절적 요인이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는 농산물과 석유류는 제외하고 산정한 것으로, 물가의 중장기적 추이를 나타낸다. 이번 물가 상승을 일시적으로 볼 수 없다는 뜻이다. 향후 물가 급등의 뇌관 역할을 할 건 국제유가다. 석유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4일 기준 전국 휘발유 가격은 1L당 평균 1673원이다. 지난달 4일(1651원)보다 22원 올랐다.

지난해 11월 유류세 인하가 시행된 이후 떨어지던 휘발유 가격은 1월 들어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여기에 국내에서 수입하는 원유인 두바이유는 3일(현지시간) 배럴당 87.46달러까지 치솟았다. 한 달 새 76.88달러에서 13.8% 올랐다. 국제유가 상승세는 통상 2~3주의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된다. 이달엔 주유소의 휘발유·경유 가격은 물론 석유류 관련 공업제품 가격 인상으로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어 심의관은 “물가 상승엔 수요 측 요인뿐 아니라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등 공급 요인도 컸다”며 “당분간 상당폭 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도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OECD는 3일(현지시간)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이 6.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1월 5.9%에서 상승폭을 키워 1991년 7월 이후 30년 5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식품과 에너지를 비롯한 모든 상품의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다. 식품 물가는 6.8%, 에너지는 25.6% 올랐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는 4.6% 뛰었다.

주요 7개국(G712월 물가상승률이 전월보다 상승했다. 미국이 7%, 영국이 4.8%, 이탈리아가 3.9%, 일본이 0.8%로 각각 0.2%포인트씩 높아졌고 독일은 5.3% 올랐다. 2021년 전체로 따지면 OECD 회원국의 연간 평균 물가상승률은 4%로 집계됐다. 전년 1.4%보다 크게 상승해 2000년 이후 21년 만에 가장 높았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