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계속된 의료계 휴진…"오늘 전공의 75.8% 휴진…전임의 35.9%"


 대학병원 등에서 수련하는 전공의들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보건의료 정책에 반발하며 집단휴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28일 휴진율이 75%를 넘어섰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의 전공의 수련기관 200곳 가운데 144곳의 근무 현황을 점검한 결과 이날 기준으로 8천700명 가운데 6천593명이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휴진 비율은 75.8%로, 이날 하루 전공의 4명 중 3명은 진료 현장을 떠났다는 의미다.

이는 전날 휴진율(68.8%)과 비교해도 다소 높아진 수치다. 전날에는 수련기관 165곳 집계 결과 6천70명이 휴진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공의들과 함께 휴진 대열에 동참한 전임의의 경우 휴진율이 35.9%로 파악됐다.

전체 2천264명 가운데 813명이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전임의 역시 전날(28.1%보다 휴진율이 높아졌다.

개원의들이 중심이 된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까지 사흘째 '2차 총파업'(집단휴진)을 벌였지만, 전공의나 전임의보다 휴진율은 낮은 편이었다.

이날 낮 12시 기준으로 전국의 의원급 의료기관 3만2천787곳 중 휴진한 곳은 2천141곳으로, 휴진율은 6.5%였다.

의원급 의료기관 휴진 비율은 지난 26일 10.8%, 27일 8.9%에 이어 이날도 2%포인트 이상 낮은 6%대에 그쳤다.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은 갈수록 심화하는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전공의들은 지난 21일부터 일주일 넘도록 무기한 집단휴진을 벌이고 있으며 전임의, 개원의 등도 휴진 대열에 합류한 상황이다. 의대생들은 9월부터 시작될 국가고시를 거부하고 동맹 휴학까지 나섰다.

정부는 그간 의료계에 대화와 협의를 제안했지만, 양측 간 이견이 좁혀지지 못한 채 집단휴진이 계속되자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는 이날 오전 긴급 브리핑을 열고 수도권에 이어 비수도권의 수련병원에서 근무하는 전공의·전임의에 대해서도 진료 현장으로 즉시 복귀할 것을 명하는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또 업무개시명령에도 불구하고 응급실로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 10명을 의료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정당한 이유 없이 업무개시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면허정지 처분이나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의료인의 경우 의료법 위반으로 금고 이상의 처분을 받으면 결격 사유로 인정돼 면허까지 취소될 수 있다.

정부가 '고발' 카드까지 꺼내 들자 최대집 의협 회장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가용한 모든 방법으로 대응하겠다"며 "우리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때는 9월 7일부로 제3차 총파업을 무기한 일정으로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