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바꿔도 과식 피할 수 있다
밥그릇 형태 등 시각적인 효과가 음식 섭취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가 건강을 해칠 때가 많다. 밥 먹는 양을 줄일 방법은 없을까. 간단한 방법이 있다. 밥그릇의 밑바닥을 올려, 그릇에 들어가는 밥의 절대량을 줄이는 것이다. 국내 대학 연구팀이 실제로 ‘착시 밥그릇’을 마련해 포만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조금 먹어도 포만감은 여전했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장은재 교수팀은 건강한 성인 여성 36명을 대상으로 밥그릇 형태와 음식 섭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두 가지 밥그릇을 준비해 참가자들에게 제공했다. 한 쪽에는 일반 밥그릇에 400g의 김치볶음밥을 담아 줬다. 다른 한 쪽엔 ‘착시’를 유도했다. 밑바닥을 높여 제작한 밥그릇(착시 밥그릇)에 김치볶음밥 300g을 담아 제공한 것이다. 겉으로 보기엔 똑 같은 양의 밥이 담긴 것처럼 연출했다. 연구팀은 식사 후 두 팀 참가자들의 포만감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300g짜리 착시 그릇에 담긴 음식을 먹은 사람과 400g짜리 일반 그릇에 담긴 음식을 섭취한 사람의 식전ㆍ식후ㆍ식후 1시간ㆍ식후 2시간의 포만감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일반 그릇에 담긴 음식을 먹은 사람의 음식 섭취량이 당연히 많았지만, 시각적 신호 때문에 어느 쪽이나 유사한 양을 먹은 것으로 인지해 실제 섭취량과 관계없이 비슷한 정도의 포만감을 나타낸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연구팀은 또 일반 그릇과 착시 그릇에 같은 양의 김치볶음밥을 담아 두 팀에 섭취하게 해봤다. 그랬더니 일반 밥그릇에 담긴 음식을 먹은 사람이 착시 밥그릇에 담긴 음식을 섭취한 사람보다 낮은 포만감을 보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일반 밥그릇에 담긴 양(상대적으로 적어 보이는)을 보고, 자신이 착시 밥그릇을 사용한 사람들보다 더 적은 양을 섭취했다고 인지(착각)해 포만감이 낮아졌다”며 “착시 밥그릇을 통해 인지 섭취량을 높이면 포만감이 커져 다음 식사 때 과식을 줄일 수 있어 체중감량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최근호에 실렸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