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카카오, 포털 '다음' 사내독립기업으로 분리 운영

북기기 0 107 0 0


카카오가 포 '다음'(Daum)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 운영한다.

지난 2015년 9월 '다음카카오'였던 사명을 '카카오'로 변경하면서 '다음'을 지워낸 지 약 8년 만에 포 사업을 본진에서 사실상 제외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카카오는 4일 보도자료에서 "검색·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서 다음 서비스의 가치에 더욱 집중하고 성과를 내고자 다음사업부문을 CIC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며 오는 15일 포 다음을 담당하는 사내독립기업(CIC)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사내독립기업(Company in Company)이란 기업 내부에 사내 벤처와 같은 형태로 운영하는 회사로, 형식상은 분사가 아닌 사내 조직 형태로 존재한다.

다음 CIC 대표는 황유지 현 다음사업부문장이 맡는다.

네이버를 거쳐 카카오 서비스플랫폼실장을 맡았던 황 대표 내정자는 플랫폼 사업과 서비스 운영 전반에 대한 업무 역량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CIC를 안정적으로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카카오는 소개했다.

다음 CIC는 검색, 미디어, 커뮤니티 서비스 등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도약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급변하는 트렌드에 맞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기술 선도적 서비스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앞서 카카오는 다음의 국내 검색 점유율이 5% 수준으로 미미한 상황임을 고려해 여러 변화를 고민해왔다.

NHN데이터의 데이터 아카이브 '다이티 블로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국내 검색엔진 유입률(검색 점유율)은 네이버 62.81%, 구글 31.41%, 다음 5.14% 순이었다.

그간 네이버가 포을 통한 검색 사업에 주력한 반면, 카카오는 카카오톡 메신저를 기반으로 한 각종 사업에 집중해왔다.

국내 양대 플랫폼 기업의 사업 기반이 이처럼 서로 다른 만큼 카카오의 이번 행보는 어느 정도 예고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이날 카카오가 공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포 사업 매출은 지난해 1분기 대비 26.7%나 감소한 836억원에 그쳤다.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는 이날 실적 콘퍼런스콜을 통해 일부 경쟁력이 낮다고 판단되는 사업은 정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포 사업을 정리하거나 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카카오는 이번 결정 배경에 대해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조직체계를 확립해 다음 서비스만의 목표를 수립하고,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카카오 관계자는 "사내독립기업으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말했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해 8월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에서 속도감 있게 사업을 전개하고 사업 특성에 맞는 경영·보상 체계를 갖춘다는 목표 아래 카카오 커머스CIC를 설립하기도 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