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3차 접종’ 강조한 정부…거리두기 완화 기회되나



당국 “3차 백신 효과 통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6일 브리핑에서 “유행, 위중증 규모가 더 축소되기를 바란다”며 “(그렇게 되면) 다시 거리두기 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중순 8000명에 근접했던 신규 확진자 수는 최근 30004000명대로 줄었고 유행 규모의 ‘선행지표’인 양성률도 1%대로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이날 0시 기준 882명으로 지난달 13일(876명) 이후 24일 만에 800명대로 내려왔다.

당국은 2월을 60세 이상 고령층 집중 접종 기간으로 운영한 지침이 위중증 환자 수 감소에 효과를 본 것으로 보고 있다. 손 반장은 “60세 이상 환자가 2000명에 육박했고 비중도 한때 35% 이상이었지만, 오늘 기준으로 15.6%(확진자 613명)로 줄었다”며 “이는 60세 이상의 3차 접종률이 빠르게 올라간 것과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0시 기준 3차 접종률은 38.3%인데 60세 이상 연령층만 두고 보면 79.5%에 달한다.

그러면서 손 반장은 “18세 이하 환자 비중은 25.7%로 1009명”이라며 “18세 이하 환자의 비중이 줄지 않고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앞으로 학생 접종률이 올라가는 속도에 따라 (이 연령대 환자 수가) 줄지 않을까 판단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예방접종의 효과가 주효했다며 재차 강조했다. 손 반장은 “지난달 6일부터 있었던 방역패스 확대조치와 사적모임 일부 통제조치가 효과를 발휘했고, 거리두기 강화 조치까지 맞물리면서 감소세가 본격화하는 국면”이라고 설명했다. 높아진 백신 3차 접종률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감소세가 본격화하는 수준까지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 보건복지부
 

“일상회복 시기와 비교하면 여전히 규모 커” 


다만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일상회복을 시작했던 시기와 비교해서는 여전히 확진, 위중증 환자 규모가 큰 편”이라고 했다. 일상회복을 시작했던 지난해 11월 1일과 비교하면 여전히 우려스러운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당시 확진자 규모는 2000명, 당시 위중증 규모는 400명 수준이었다.

사망자 수도 아직 줄지 않고 있다. 손 반장은 “유행 규모 감소와 1∼2주 격차를 두고 중증환자가 감소하고 다시 7∼10일 격차를 두고 사망자 수 감소가 일어난다”며 “(특히 치명률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 비중이 줄수록 3∼4주 격차를 두고 치명률은 떨어지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그래도 위중증 환자가 감소하며 병상 상황이 포화상태에서 벗어난 점은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된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코로나19 중증병상 가동률은 54.8%이고 준중증병상 가동률은 43.3%,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38.2%다. 다만 지역별 가동률에는 차이가 있다. 세종의 경우 중증병상 가동률이 83.3%이고 부산은 82.8%, 경남도 77.6% 수준이다.

손 반장은 “지역별 의료자원에 따라 편차가 발생한다”며 “이를 고려해 권역별로 중환자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