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목마르면 배고프다? '식욕'에 대한 오해와 진실

보헤미안 0 237 0 0

목이 마르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는 거짓 배고픔을 느낄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위(胃)가 비었을 때만 배고프다고 느끼는 것이 아니다. 위에 음식이 가득해도 허기를 느낄 수 있다. '식욕'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쳐본다.

-목마르면 배고프다?
우리 뇌는 목마름을 배고픔으로 착각할 수 있다. 몸의 70%가 물로 이뤄져 있고, 물이 크게 모자라면 당연히 극심한 갈증을 느낀다. 하지만 1~2% 정도만 부족해서 정상 범위에서 약간 벗어난 상태가 수개월간 지속되면 여기에 몸이 적응해버린다. 그래서 뇌가 목이 마르다고 신호를 보내지 못하고, 그저 몸에 뭔가 부족하다고만 착각해 음식을 먹으라고 신호를 보낸다.

-스트레스 받으면 배고프다?
스트레스를 계속 받으면 배가 고프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속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높아진다. 코르티솔은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의 힘을 약화시킨다. 밥을 많이 먹어서 렙틴이 "그만 먹어!"라는 신호를 보내도, 몸속 세포들이 이 명령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나이 들수록 배고프다?
그렇다. 뇌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 호르몬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나이 들수록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렙틴 호르몬이 뇌에 충분히 작용하지 않거나 더디게 작용해 포만감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거나 늦게 느낄 수 있다.

-졸리면 배고프다?
잠을 적게 자면 뇌에서 식욕을 관장하는 편도체가 강력하게 반응해, 칼로리가 높고 자극적인 음식이 당긴다.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연구에 따르면, 하루 6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식욕을 촉진하는 그렐린 호르몬이 늘어나고,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은 감소한다.

-섹스가 부족하면 배고프다?
성욕을 채워야 하는데, 욕구만큼 행동이 따라주지 않으면 배가 고플 수 있다. 뇌의 시상하부에는 식사, 섹스 등 욕망에 관여하는 포만중추가 있다. 포만중추는 식욕을 누르고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CART 단백질과, 식욕을 불러일으키는 NPY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 포만중추 겉면에는 이런 단백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있어서 두 단백질 중 더 많이 분비된 쪽이 수용체를 차지한다. 그런데 섹스가 부족해서 성욕이 채워지지 않으면 NPY 단백질의 힘이 커져 포만중추를 차지해버린다. 이렇게 되면 포만중추가 몸에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낸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