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2200년전 침몰한 고대 군함 발견..잃어버린 도시의 흔적

그래그래 0 216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고대 이집트의 주요 지중해 항구로 사용됐던 침몰한 수중도시에서 당시 사용된 군함과 그리스 장례식 흔적 등 희귀한 유적이 발견됐다.

유럽 수중고고학협회(IEASM) 공동연구진에 따르면 이번 발견은 지중해와 만나는 나일강의 가장자리에 있으며, 대도시였던 헤라클리온(이라클리온) 수중 발굴 중 이뤄졌다.

이 도시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더 대왕이 해안도시인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하기 전까지, 수세기 동안 이집트 일대에서 가장 큰 항구도시로 꼽혔다.

발견된 군함은 이집트의 헤라클리온 항구에 정박할 예정이었으나, 항구 근처 육지에 있던 신전이 붕괴되고 함몰되면서 함께 침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여러 차례의 지진과 해일에 의해 나일 삼각주의 넓은 지역이 파괴되고, 결국 기원전 2세기 완전히 육지에서 사라졌다.

고대 도시를 이루던 돌들이 무너지면서 배는 더 깊은 수로 아래로 가라앉았고, 현재 깊은 해저에는 사원의 잔해가 흩어져있다.

고대 수중 도시에서 발견된 유물 중 일부

침몰한 배의 길이는 25m가량이며 바닥이 평평해 나일강과 삼각주에서 항해하기에 최적화된 외형을 가지고 있다. 고대 이집트의 조선 건조의 전형적 특징과 목재 사용에서 볼 수 있듯, 거대한 크기의 돛과 노가 여전히 장착돼 있었다.

이집트 고대유물부분 관계자는 해당 선박이 당시에는 보기 드문 고속선이었으며, 이 선박의 발견 전까지는 그리스에 이러한 선박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확인된 적이 없다.

연구진은 이밖에도 기원전 4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그리스 장례식의 유적도 함께 발견했다. 당시 해당 지역에는 아문 신을 모시는 신전이 있었고, 이 근처에 영안실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자연재해로 이 지역이 소실됐고, 해당 유적지는 수중에서 아문 신의 사원과 섞인 채 발견됐지만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물에 완전히 잠긴 도시는 1999년부터 이집트 관광 및 유물부의 중앙 수중 유물 부서와 유럽 수중고고학협회(IEASM)가 발굴 작업을 시작했고, 2001년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한편 헤라클리온과 함께 수장된 또 다른 도시인 카노푸스는 당시 지중해 아래에 있는 도시와 사원의 풍요로움을 입증하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꼽힌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