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핵전쟁·바이러스·대지진도 문제없다..美 초호화 벙커 공개

그래그래 0 435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바이벌 벙커의 외관 이미지와 입구 모습

핵전쟁 등 인류에게 치명적인 재앙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도 5년은 문제없이 살아남을 수 있는 초호화 벙커가 공개됐다. 최근 미국 폭스뉴스 등 현지언론은 핵전쟁, 바이러스, 대지진 등 인류의 생명을 위협할 상황에서도 생존이 가능한 1% 부자들을 위한 지하 콘도를 소개했다.

과거 국내 언론에도 보도돼 화제가 된 이 벙커는 ‘서바이벌 콘도’로 불리며, 캔자스시티 인근에 건설됐다는 것 외에 정확히 위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숙소와 상점숙소와 화장실

서바이벌 콘도의 내부는 상상을 초월한다. 먼저 전체적인 모습이 15층 아파트를 지하에 건설한 것으로 보이며 작은 도시의 편의시설은 전부 들어가있다. 호텔방 같은 숙소 외에도 상점, 의료시설, 사우나, 극장, 수영장, 술집, 사격장, 신선한 생선과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공간까지 있기 때문. 여기에 학교를 갈 수 없는 아이들을 위한 교실과 도서관도 마련되어 있다.

물론 이 벙커에 ‘입주’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돈이 들어간다. 그나마 가장 싼 숙소라도 분양받으려면 최소 150만 달러(약 18억원)가 필요하며 매달 2500달러(약 300만원)의 관리비는 별도다. 이렇게 총 75명 입주가 가능하며 핵전쟁 후 5년을 나가지 않고 이곳에서 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물자가 비축되어 있다. 다만 서구인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두루마리 화장지가 부족해 대신 비데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 언론의 설명.

수영장과 당구장

보도에 따르면 서바이벌 콘도의 자리는 과거 냉전시기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비밀리에 보관하던 벙커였다가 폐기됐다. 이렇게 방치된 벙커는 방위산업일을 하던 래리 폴이 지난 2008년 사들여 지금의 서바이벌 콘도로 건설했다. 홀은 “이미 많은 부자들의 관심을 받아 분양이 마감됐다”면서 “우리 고객은 모두 사업가, 의사, 변호사 등 자식이 있는 백만장자로 최악의 상황을 우려해 이곳에 거처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에서 이같은 벙커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1950~1960년 대 냉전시대로, 당시 미국과 소련 사이에는 핵전쟁에 대한 전운이 감돌았다. 그러나 전쟁의 위험이 가시면서 벙커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었으나 몇년 전 미국과 북한 사이에 군사적 긴장감이 커지자 다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바이러스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자 또다시 관심을 받고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