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백신 접종 못하는 초등학생 감염률 급증… 청소년 미접종자 중 19명 위중증”

북기기 0 128 0 0


최근 10대 코로나19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초등학생 감염률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백신을 맞고 있는 중고등학생 그룹은 감염률이 낮은 상태에 머물거나 떨어지는 등 백신 접종 효과가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전체 청소년의 백신 접종률을 높이면 백신을 못 맞는 초등학생에 대한 간접적인 예방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7~12세 확진자 2주 만에 2400명→4325명 급증”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21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7∼12세 코로나19 신규 감염자와 관련해 “(지난 3주간) 매주 약 1800명, 2400명, 3700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지난주에는 4325명까지 늘었다”며 “(2주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라고 밝혔다.

홍 팀장은 “반면 (접종이 진행 중인) 중학생 그룹에서는 1650명에서 직전주 1500명으로 소폭이지만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확진자가 줄었다”라며 “접종률이 올라가면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접종률이 높아진 연령대에서는 감염률이 이에 반비례해 떨어지는 등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 1·2차 접종현황을 보면 1215세는 전날 기준으로 전체 접종대상자의 52.9%가 1차 접종, 31.5%가 2차 접종을 마쳤다. 이보다 먼저 접종을 시작한 1617세의 1차 접종률은 77.6%, 2차 접종률은 69.0%에 달했다.

현재 11세 이하, 즉 현재 초등학교 5학년부터 그 이하 연령층은 아직 접종 대상군이 아니다.

지난 11월 넷째 주(11.2127)부터 이달 셋째 주(12.1218)까지 최근 4주간 연령별 일평균 확진자를 1주일씩 따져보면 7∼12세는 9.4명→12.6명→19.0명→22.1명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난 20일 세종시에 위치한 찾아가는 백신접종 거점 학교에서 중학생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뉴스1

반면 중학생 연령층인 1315세는 같은 기간 10.7명→12.6명→17.1명→15.5명으로 나타나 최근 감소세를 보였고, 1618세도 4.5명→5.3명→7.2명→8.1명으로 파악돼 소폭 증가에 그쳤다.

1 0대 확진자가 늘면서 미접종 감염자 중에서는 다기관염증증후군과 같은 중증 질환 사례도 속속 늘고 있다. 홍 팀장은 “지난 11일 기준으로 현재까지 청소년 확진자 중 11명은 ‘다기관염증증후군’이라고 부르는 중증 질환이 있었고, 그 밖에도 중환자실 입원 사례까지 포함하면 위중증 사례가 총 19건”이라며 “전체 10대 확진자 중 0.04%로 드문 비중이지만, 이들 모두 미접종자”였다고 밝혔다. 다기관염증증후군은 코로나19에 감염되고 수 주 뒤 발열, 발진, 다발성 장기손상 등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반응으로, 주로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부, “청소년 예방접종률 올라가면 미접종 청소년 보호 효과 생겨”

이에 대해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체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커지면서 접종을 받지 않은 청소년과 11세 이하, 또 원천적으로 예방접종이 불가능한 연령층에서 감염이 함께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통해서 전체 사회의 유행 규모를 축소하면서 감염 확률을 낮추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며 “(현재 접종이 진행 중인) 청소년층의 예방접종률이 함께 올라가면 예방접종을 하지 못하는 연령층에 대한 간접적인 보호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보건복지부 제공

그는 이어 “다행히 조금 있으면 방학이 시작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집단감염 확률이 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 기간에 개학을 대비한 미접종 청소년군에 대한 보호장치를 고심해 대안을 마련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접종’에 대해 일부 학생과 학부모의 반발이 제기된 데 대해서는 학교를 닫지 않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을 밝혔다. 손 반장은 “청소년의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상황이지만, 영원히 원격 수업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교생활이 가능한 형태를 찾아야 한다”며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면서 정상적으로 대면 수업을 하고, 동시에 코로나19 감염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까지 청소년 접종이 시작된 국내외 사례를 모니터링한 결과, 접종 후 특이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으며, 일부 부작용이 나타난 사례도 현재 완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