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양질의 일자리가 사라진다…전일제 환산 취업자 비율, 2년 연속 50%대↓

북기기 0 125 0 0

일주일에 40시간 이상 '풀타임'으로 일하는 전일제 취업자 고용률이 2년 연속 50%대에 그쳤다. 청년층과 고령층의 단시간 일자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전일제 환산 취업자(FTEfull-time equivalent)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1년 58.8%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첫 해인 2020년 58.6%를 기록한 데 이어 2년 연속 50%대에 머물렀다.

FTE 고용률은 한 주에 40시간 일한 사람을 취업자 1명으로 보고 계산하는 지표다. 주 20시간 일한 사람은 0.5명, 주 60시간 일한 사람은 1.5명으로 산정하는 방식이다. 일주일에 1시간만 일해도 취업자 1명으로 치는 일반 고용률의 한계를 보완한 것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도 공식 통계로 활용한다.

FTE 고용률과 통계청 고용률 비교 ©유경준 의원실 제공

2010년 66.5%였던 FTE 고용률은 65% 안팎을 오가다 2018년 63.0%, 2019년 62.0%로 연이어 하락한 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첫해인 2020년 50%대로 내려앉았다. 50%대로 내려간 것은 통계 분석을 시작한 1981년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 통계청이 공표하는 일반 고용률은 2010년 58.9%에서 2018년 60.7%, 2019년 60.9%로 상승했고 2020년 60.1%로 내려간 뒤 2021년에는 60.5%로 다시 올랐다. 2019년까지 일반 고용률을 웃돌던 FTE 고용률이 2020년에는 일반 고용률보다 낮아진 건데, 이러한 '역전 현상' 역시 통계 분석이 가능한 1981년 이후 처음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취업 주력 계층인 3059세는 일반 고용률과 FTE 고용률 격차가 최근 들어 좁혀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FTE 고용률이 높다. 일반 고용률은 2020년 75.5%, 2021년 75.9%였으며 FTE 고용률은 2020년 76.7%, 2021년 77.0%였다.

반면 1529세와 60세 이상에서는 일반 고용률이 FTE 고용률을 추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529세 일반 고용률은 2018년 42.7%에서 2021년 44.2%로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FTE 고용률은 41.8%에서 40.9%로 하락했다. 60세 이상 일반 고용률은 2015년 39.0%에서 2021년 42.9%로 상승했으나 FTE 고용률은 같은 기간 38.2%에서 37.1%로 하락했고 격차는 0.8%포인트에서 5.8%포인트로 벌어졌다.

유 의원은 "이는 근로시간 단축과 함께 청년층·고령층의 단시간 근로가 급증한 영향"이라며 "생산성 향상을 동반하는 자연스러운 단축이 아니라 경기 부진과 노인 재정일자리라는 인위적 일자리를 만들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유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 '숫자만 늘리면 된다'는 식의 통계 왜곡적 발상이 일자리 정책의 주를 이뤘다"며 "그 결과 청년 알바와 노인 재정일자리라는 단기 일자리가 풀타임 일자리를 대체하는 최악의 결과가 초래됐다"고 비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