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대통령 질책에 현장 찾더니 미세먼지 줄자 사라진 장관들

마법사 0 1017 0 0

모처럼 파란 하늘이 드러났던 7일에 이어 8일에도 미세먼지 농도는 '보통' 수준으로 낮아졌다. 6일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며 전국을 숨 막히게 했던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잠시 자취를 감춘 것이다. 기상정보업체 케이웨더는 11일까지 미세먼지 농도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미세먼지가 사라지자 미세먼지 현장에서 장관들도 사라졌다. 8일 미세먼지 현장을 찾은 주요 부처 장관은 전무했다. 지난 5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세먼지 대응을 두고 행정부를 질책하자 다음 날인 6일 5개 부처 장차관들이 학교, 건설 현장, 발전소 등 부랴부랴 미세먼지 현장으로 달려간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7일에도 주무부처인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만 현장을 찾아 미세먼지가 장관들의 관심에서 급격히 멀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부터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조 장관은 서울 강남자원회수시설을 찾아 생활폐기물 소각에 따른 미세먼지 발생 현황을 점검했다. 김 장관은 부산 북항 건설 현장을 방문해 공사장 비산먼지 실태 등을 살폈다. 또다시 봄철 미세먼지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미세먼지 감축 대책과 현장 지도가 필요한데도 장관들이 대통령 눈치 보기에만 급급해 보여주기식 행보만 펼쳤던 게 아니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고농도 미세먼지로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이후에 시행하는 대책들은 실질적 미세먼지 저감에 큰 효과를 낼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평소 미세먼지 축적을 막는 게 급선무라는 것이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환경장관이라면 대통령 지시를 받아 적는 게 아니라 대통령에게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전문가들과 현장 의견을 좀 더 수렴하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행히 주무부처인 환경부를 이끌고 있는 조명래 장관은 이날 예정된 한강홍수통제소 업무보고를 받지 못하고 미세먼지 관련 관계기관회의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날 환경부가 내놓은 각종 긴급 대책에 대해 '검토'가 아닌 하루라도 더 빠른 '실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앞서 환경부는 긴급조치에 따라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중국과 공동으로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하고 인공강우 실험도 연내에 중국과 함께 실시하기로 했다. 하지만 중국과의 공조는 사실상 별다른 협의조차 없었다는 게 곧바로 드러났다. 중국이 "한국이 미세먼지 원인을 제대로 직시해야 한다"며 이틀 연속 중국발 미세먼지의 책임을 부인하고 나선 것이다.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