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르노삼성 노조 "민주노총·금속노조와 연대" 강경 투쟁 예고

그래그래 0 998 0 0

(부산=뉴스1) 박기범 기자 = 르노삼성자동차 노동조합이 노동권 권리 확보를 위해 부산지역사회와 연대한 투쟁을 결의했다.

도미닉 시뇨라 르노자동차 사장이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협상기한까지 노사 협의에 협조하겠지만, 사측 제안에 끌려가지 않고 노조의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목소리를 전한다는 계획이다.

르노삼성자동차 노조는 금속노조 부산영산지부,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와 함께 2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르노삼성자동차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에는 박주미 정의당 부산시당 위원장, 노기섭 부산시의회 의원이 함께 했다.

노조는 이날 투쟁의지를 불태웠다.

도미닉 시뇨라 사장이 26일 부산공장에서 처음으로 노조위원장을 포함한 노조 집행부를 만나 부산공장의 가동을 책임지는 닛산 로그 후속 물량 확보 및 신차 배정 등 향후 경영 상황을 고려해 노사 협상을 3월8일까지는 마무리해야 한다는 뜻을 밝힌 데 대해 반박에 나섰다.

노조 관계자는 "가이드라인까지 협상을 이어가겠지만, 사측의 주장에 끌려가지 않을 것"이라며 "협상기한을 지날 경우 사회로 나가 연대투쟁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강경 투쟁 계획을 전했다.

도미닉 시뇨라 사장의 제안을 두고 "르노삼성 임원진에 노사 협상을 위임하며 책임을 회피한 것"이란 비판도 이어갔다.

이날 기자회견은 '르노노조-금속노조-민주노총'의 공동 투쟁을 결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향후 강경투쟁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노조는 기자회견에서 노동환경과 사측의 부실경영 문제도 지적했다.

노사는 기본급 인상 문제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르노삼성은 국내 완성차 5개 업체 중 유일하게 지난해 임단협 타결에 실패했다. 노조는 기본급 10만667원 인상을 주장하지만, 사측은 기본급은 동결하는 대신 보상금을 지급하는 안을 제시했다.

노조는 르노그룹 본사가 수천억원의 배당금을 챙겨가면서도 직원들에게는 혜택을 주지 않았던 만큼 기본급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노조에 따르면 르노삼성은 2006년 이후 생산량과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했지만 영업이익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매출액은 2006년 3조7000억원에서 2017년 6조7000억원으로 올랐다. 반면, 영업이익률은 2006년 8.7%로 국내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높았으나, 2012년에는 -4.7%까지 떨어졌다. 생산량과 판매량이 가장 높았던 2010년(27만5000대)의 경우 영업이익률이 0.07%(34억원)에 불과하기도 했다.

이 같은 원인으로 값비싼 르노-닛산과의 내부거래 확대, 기술 사용료, 연구비, 용역수수료, 광고판촉비 등이 르노본사로 이전됐다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잘못된 경영으로 수익성이 악화됐지만, 책임은 노동자에게 전가됐다는 비판도 나왔다.

사측에서 영업적자를 이유로 2012년 870명을 정리해고 하고, 2012년부터 희망퇴직을 이어가면서 2012년 5746명이던 인력이 현재는 4126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추가 채용은 이뤄지지 않아 높은 노동강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직원들의 근골격계 질환이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평균 연봉 7000만원 수준의 임금을 두고 '귀족노조'란 비판이 나오는데 대해서는 연장, 심야수당, 휴일특근의 포함된 금액이고, 이 마저도 최고 많을 때가 기준이라며 사측이 언론플레이를 한다고 비판했다.

사측은 기본급 인상 등 고정비가 인상될 경우 글로벌 경쟁력이 하락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 업체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몸집 줄이기에 한창인데, 임금 인상 등은 이에 역행한다는 설명이다. 1, 2년이 아니라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회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라는 설명이다.

한편 이번 임단협 교섭과 관련해 노조는 지난해 10월부터 총 38차례(144시간)의 부분 파업을 벌였다. 역대 최장 파업이자, 과거 파업 일수를 모두 더한 것보다 많다. 예고대로 부분 파업이 강행될 파업 기록은 총 40차례(160시간)로 늘어난다.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