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화약고 된 ‘김은경 혁신안’…민주 지도부, ‘친명-비명’ 파열음

북기기 0 116 0 0





대의원제 무력화와 권리당원 권한 강화를 뼈대로 한 ‘김은경 혁신위원회’의 더불어민주당 혁신안이 예상대로 당내 갈등의 화약고가 되고 있다. 1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선 지도부의 이견이 고스란히 노출된 데 이어, 비이재명계와 친이재명계는 각각 집단성명과 기자회견 등을 통해 거부와 찬성 뜻을 밝혔다. 혁신안을 둘러싼 당내 갈등과 긴장이 당분간 날카롭게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의 표 반영 비율을 현행 ‘권리당원(당비 납부 6개월 이상) 40%, 대의원(지역에서 오래 활동한 핵심당원 등으로 주로 지역위원장이 임명) 30%, 국민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에서 ‘권리당원 70%, 일반국민 30%’로 바꾸자고 한 혁신안이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라고 지적했다. 고 최고위원은 “대의원제 폐지는 오로지 전당대회에만 적용되는데, 전당대회는 내년 총선 이후에 치러진다. 내년 총선 끝나고 해야 할 일을 굳이 지금으로 당겨야 할 시급성이 무엇이냐”며 “총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니고, 민생의 시급성을 다투는 것도 아닌 일에 이런 무리수를 둬야 하는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혁신안이 나온 지 하루 만에 당 지도부에서 공개적인 반발이 나온 것이다.

이에 원외 친이재명계인 서은숙 최고위원은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혁신을 거부하는 것은 자기 스스로를 낡은 존재로 만드는 길”이라며 혁신안을 감쌌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다른 최고위원들은 혁신안과 관련한 언급을 삼갔다. 폭발력이 큰 사안인 만큼, 섣불리 찬반 의견을 내놓을 경우 당내 갈등에 기름을 부을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혁신안이 ‘오답’이라는 비이재명계의 비판은 쏟아졌다. 친문재인계 60여명이 참여하는 당내 의견그룹 ‘민주주의 4.0’은 이날 성명을 내어 “혁신위가 신뢰와 권위를 상실한 상태에서 발표한 혁신안을 민주당의 혁신안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며 혁신안 수용을 거부했다. 86그룹을 중심으로 전·현직 의원 60여명이 참여하는 ‘더좋은미래’도 입장문을 내어 “이 문제(대의원제 무력화)로 당내 논란과 갈등이 증폭되는 것은 매우 적절하지 않으므로 총선 전 더 이상 논의를 진행하지 말자”고 요구했다. 홍영표 의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지금 안은 ‘혁신 없는 혁신안’이고 (이재명 대표의) ‘당권 사수안’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친이재명계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김용민 의원과 일부 권리당원 모임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당대회 표결 방식 개혁을 적극 환영한다”며 “혁신안 찬반을 전당원투표에 회부해 (수용 여부를) 당원들이 직접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움직임에 이재명 대표는 최고위 뒤 기자들과 만나 “혁신안은 혁신위의 제안이기 때문에 당내 논의를 거쳐서 합당한 결과를 만들어내도록 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당 지도부는 시간을 갖고 당 안팎의 의견을 수렴하고 당내 토론을 거쳐 혁신안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의원 표 반영 비율 등이 향후 조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비이재명계가 혁신안에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가 ‘국민 신뢰를 회복해 승리해야 하는 총선과 무관하다’는 대목이어서, 혁신안이 묻힐 가능성은 열려 있다. 강선우 대변인은 “(의총과 워크숍 등에서) 앞으로 긴 토론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최고위가 의결하고, 책임도 최고위가 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