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동굴벽화 대다수 저산소증 환각 상태서 그려져" (연구)
[서울신문 나우뉴스]
라스코 동굴벽화의 복제 작품(사진=CC 위키피디아)지금까지 발견된 고대 동굴벽화를 그린 대부분 예술가는 산소 결핍 상태에서 작품을 완성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연구진이 4만 년 전부터 1만4000년 전까지 후기 구석기 시대에 그려진 여러 동굴벽화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동굴 깊숙한 곳에 그려져 있어 횃불을 들고 가야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로 스페인과 프랑스에 있는 유럽의 동굴벽화에 초점을 맞춘 이 연구에서 연구진은 이들 벽화를 그린 구석기인들이 왜 동굴의 깊숙한 곳에 작품을 그렸는지를 설명하려고 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후기 구석기인들은 동굴의 깊은 곳을 일상적이거나 가족적인 활동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다. 이런 활동은 주로 야외나 동굴의 얕은 주거지 또는 동굴 입구 부분에서 행해졌다”면서 “벽화는 동굴의 깊고 어두운 곳에만 그려진 것은 아니지만 깊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벽화의 이미지는 매우 인상적이라서 연구의 중점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 공동저자인 란 바카이 텔아비브대 고고학과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동굴을 환하게 밝히기 위해 불을 쓰면 산소 수치가 떨어져 저산소증이 나타나 도파민(신경전달물질)이 방출돼 환각이나 유체 이탈을 경험할 수 있다”면서 “이런 상태에서 벽화를 그리는 것은 화가가 우주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안한 의식적인 선택이었다”고 설명했다.
바카이 교수는 또 “벽화는 사물과 이어지기 위해 쓰였다. 따라서 우리는 동굴벽화를 동굴 예술이라고 부리지 않는다”면서 “이런 벽화는 미술관 작품들과 다르다”고 말했다.
동굴벽화를 그린 구석기인들은 바위의 표면을 자신들의 세계와 지하 세계를 이어주는 일종의 막으로 여겼는데 지하 세계는 모든 것이 중요롭게 존재하는 곳으로 생각했다고 바카이 교수는 덧붙였다.
벽화에는 매머드나 바이슨(들소) 또는 아이벡스(산악염소)와 같은 야생동물이 그려졌다. 전문가들은 오랫동안 거기에 어떤 의도가 있는지를 논의하고 분석해 왔다.
연구진은 동굴이 후기 구석기 시대의 신앙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벽화는 이런 관계의 일부였다는 견해를 드러냈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벽화로 장식했다고 해서 동굴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실체는 반대로 이들이 선택한 그 동굴이 중요하기에 벽화로 장식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카이 교수는 또 동굴벽화가 모종의 입사식(initiation rite) 중 일부로 사용됐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왜냐하면 그 자리에 아이가 있었던 증거가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동굴의 깊은 곳까지 왜 아이를 데려왔는지를 검증할 것이라고 바카이 교수는 지적했다. 이와 동시에 현장에 있던 사람들이 저산소증에 관한 내성을 키울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고찰을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타임 앤드 마인드’(Time & Mind) 최신호(3월 31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