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10월 소비자물가 5.7% ↑… 전기·가스·수도 23.1% '껑충'

북기기 0 164 0 0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전월보다 오름세를 키웠다. 전기·가스·수도 요금 상승률은 통계청 집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100)로 전년동월대비 5.7%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6.0%, 7월 6.3%로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까지 치솟은 뒤 8월 5.7%, 9월 5.6%로 둔화했다. 하지만 10월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 10.7%, 가공식품 9.5% 상승 등 공업제품이 6.3%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까지 오른 뒤 7월 35.1%, 8월 19.7%, 9월 16.6%로 둔화하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전체 물가에 대한 공업제품의 기여도는 6월 3.24%포인트(p)에서 9월 2.32%p, 10월 2.20%p로 낮아졌다.

농축수산물은 5.2% 올라 전월(6.2%)보다 상승률이 둔화했다. 농산물은 7.3% 오르면서 전월(8.7%)보다 낮아졌다. 채소류는 21.6%, 축산물은 1.8% 각각 올랐다. 수산물은 6.5% 상승해 전월(4.5%)보다 상승률이 커졌다.

전기·가스·수도는 23.1% 상승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기·가스 요금이 인상된 영향이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전월(6.4%)과 같은 6.4%를 유지했다. 이는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외식이 8.9%, 외식외 개인서비스가 4.6%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8% 올라 전월(4.5%)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2% 올랐다. 마찬가지로 전월(4.1%)보다 상승세를 키웠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5% 올랐다. 전월 상승률(6.5%)과 같은 수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 가격은 오름세가 둔화했지만 전기·수도·가스의 오름세가 확대되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가 상승률이) 6%대로 올라가지는 않으리라고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7월이) 정점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