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BMS로는 못막아…전극 단위 모니터링해야”
인천 청라 벤츠 전기차 화재사고 이후 ‘안전성’은 전기차와 배터리의 품질 평가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기차 제조사들도 그동안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를 향상하기 위해 배터리 용량을 키우고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에 집중했지만, 최근엔 배터리 안전성에 더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배터리 기술 지식재산(IP) 기업 24M테크놀로지스도 그중 하나다. 나오키 오타 24M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7일 중앙일보와 만나 “(일각에서 해법으로 기대하는) 전고체 배터리도 근본적으로 화재를 막을 수는 없다는 연구가 최근 나오고 있다”며 “배터리셀의 양극과 음극을 정밀 모니터링해 이상이 감지되면 배터리 내부 에너지 흐름을 차단하는 게 근본 해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자동차·배터리 기업들과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방한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는 가연성인 전해액을 고체로 바꾼 배터리로 국내 배터리 3사 등이 연구개발 중이다. 전해질은 분리막을 투과해 리튬이온을 양극과 음극으로 전달하는데, 전해질이 고체로 바뀌면 분리막이 필요없어 배터리 부피가 줄고 더 안전할 것이란 기대가 있다. 나오키 회장은 “24M은 분리막 신소재로 해결책을 찾았다”며 “전극 단위 모니터링도 가능하다”고 했다.
오타 회장은 최근 한국에서 화재 예방 방법으로 거론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대해선 “집안의 모든 전원을 관리하는 ‘두꺼비집’(회로차단기)이 있고, 방마다 스위치가 있지 않나. BMS는 회로차단기 역할일 뿐 각 방의 전원에 문제가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