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경매 나오는 야생동물..아프리카 나미비아가 코끼리 파는 이유

그래그래 0 302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아프리카코끼리 자료 사진=123rf.com

아프리카 나미비아가 멸종위기 취약종에 올라 있는 야생 코끼리 170마리를 경매에 내놓는다고 뉴 에라 등 현지 언론이 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나미비아 환경산림 및 관광부는 현재 나미비아 야생에 서식하는 코끼리를 구매한 뒤 검역시설 및 안전하고 완벽한 울타리 등을 완비했다는 인증서를 포함해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모든 사람에게 경매에 참여할 권한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외국 구매자 역시 해당 국가가 코끼리 수입을 허가한다는 증명서를 제출할 경우 코끼리를 낙찰받을 수 있다.

나미비아가 170마리에 달하는 야생 코끼리를 경매에 내놓은 이유 중 하나는 가뭄으로 인한 경제난이다. 나미비아는 수 년 째 수십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피해를 입을 정도의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끼리가 흔한 나미비아와 같은 일부 국가들은 코끼리를 고부가가치 종(種)으로 분류해 왔다.

나미비아는 이미 코끼리의 개체 수가 멸종위기를 벗어날 만큼 회복됐다고 주장하며, 야생 코끼리와 같은 살아있는 동물의 수출 및 사냥 허가 등을 통해 기금을 모으는 것이 멸종위기를 막는데 필요한 기금을 모으는 데 도움이 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밀렵됐거나 자연사한 코끼리에서 채취한 상아 비축분을 팔아 코끼리 보호에 사용하자는 제안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내놓았었지만 부결된 바 있다.

그럼에도 지난 10월에는 나미비아 중부에 서식하는 버팔로 암컷 70마리와 수컷 30마리를 팔았고, 지난해에도 버팔로 500마리를 포함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1000여 마리를 경매에 보내 돈을 벌었다.

현지 정부 통계에 따르면 코끼리 개체 수는 1995년 약 7500마리에서 2019년 2만 4000마리로 증가했지만, 나미비아의 주장과 달리 아프리카코끼리의 개체 수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종 목록에 취약종(VU)으로 올라 있는 아프리카 코끼리는 2006년~2015년 사이 11만1000마리가 감소했다.

사진=123rf.com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