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천안함 수색했던 청해진함 투입... 北발사체 인양 총력전

북기기 0 115 0 0



군은 2일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 인근 해역에 추락한 15m 길이의 북한 발사체 잔해 수색·인양 작전을 위해 세월호와 천안함 수색 등에도 쓰였던 ‘청해진함(ASR 21)’을 추가 투입해 총력전에 나섰다. 청해진함에는 심해에서 장시간 잠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인원이송캡슐(PTC·Personnel Transfer Capsule)’ 등 포화잠수장비와 가감압 체임버 등이 탑재돼 있다. 군은 발사체 잔해를 통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 수준을 파악하고, 이 잔해에 인공위성도 있을 경우 북한의 우주 기술 수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0003767488_002_20230602225701089.jpg?type=w647


군은 이날 서해 75m 깊이 바닥에 누워 있는 길이 15m, 직경 2~3m의 발사체 몸통 추정 물체를 건져 올리기 위해 3200t급 잠수함구조함(ASR) 청해진함을 추가 투입했다. 군은 이미 3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으로 작업을 하고 있었지만, 신속한 인양을 위해 추가 투입한 것이다. 북한이 ‘만리경 1호’라 명명한 위성과 ‘천리마 1호’로 부르는 발사체는 북한의 최신 국방 기술의 결정체일 것으로 추정된다.
 

0003767488_003_20230602225701132.png?type=w647


합참은 이날 청해진함을 통해 ‘포화(飽和) 잠수’ 작업을 개시했다. 포화 잠수는 수상함에 설치된 가감압 체임버를 통해 잠수사의 몸을 작업할 물속 깊이의 수압에 미리 적응시킨 뒤 PTC를 타고 들어가 장시간 잠수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 ‘PTC’와 ‘가감압 체임버’가 청해진함에 탑재돼 있다.

합참 관계자는 “청해진함에서 75m 물속 바닥에 길쭉하게 누워 있는 발사체 몸통을 줄로 묶어 끌어올리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물체는 현재까지 발사체의 ‘2단’ 분리 부분으로 추정되지만, 길이로 볼 때 2단과 3단이 함께 붙어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만일 3단까지 붙어 있다면 그 안에 있는 위성이 발견될 수도 있다. 군 관계자는 “그 외의 잔해를 찾기 위해 계속 수색하고 있다”며 “수색 범위는 몸통 발견 해역에서 반경 100㎞에 달한다”고 했다.
 

0003767488_004_20230602225701560.jpg?type=w647

포화잠수 과정 그래픽.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