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서울 북부간선로에 ‘도로 위 집’ 짓는다

마법사 0 411 0 0

서울 북부간선도로 위에 인공대지를 올려 집을 짓는 신개념 도시의 밑그림이 나왔다. 인공대지에는 공공주택 1000가구가 들어서고 공원과 보육·상업시설, 녹지가 겸비된다. 간선도로를 달리는 차들이 뿜어낼 분진과 소음·진동의 악영향에 대해 서울시는 적절한 설비를 시공하면 문제없다고 자신했다.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중랑구 북부간선도로 신내IC∼중랑IC 약 500 구간 상부에 인공대지를 만들고 주변 지역을 포함해 약 7만5000㎡에 보금자리와 여가, 일자리가 어우러진 ‘콤팩트시티’를 만드는 계획을 5일 발표했다.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발표한 북부간선도로 위 ‘콤팩트시티’의 상상도. 서울시 제공


예정 대지는 신내IC∼중랑IC 500 구간 상부 2만3481㎡, 북부간선도로와 도로 남쪽 신내차량기지 사이 저층 창고 부지 3만3519㎡, 도로 북측의 완충녹지 1만7675㎡다. 국공유지가 67%이고 나머지 33%는 사유지다. 인공대지의 높이는 7.8∼8.1m가 될 전망이다. SH공사는 교통 영향 등을 고려해 인공대지를 모듈 형식으로 완성한 뒤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는 방식을 검토 중이다. 총사업비는 4200억원쯤으로 추산된다.

인공대지 위와 주변 지역에는 청년 1인가구와 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주택인 ‘청신호 주택’ 1000가구가 들어선다. 생활SOC(사회간접자본)로는 체육·보육·문화시설 등이 검토되고 있다. 업무·상업시설,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센터와 숙소, 녹지공간도 만들어진다.

주거와 일자리, 여가가 한데 모인 ‘콤팩트시티’는 지역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된다. 일단 현재 단절된 경춘선 신내역과 신내3지구가 인공대지를 통해 역세권으로 묶인다. 또 개통 예정인 6호선 신내역, 면목선 경전철역과 함께 트리플 역세권이 형성돼 이 일대가 대중교통 중심의 생활권으로 거듭날 수 있다. 북부간선도로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포천고속도로, 동부간선도로 등 광역 교통망도 충분하다.

서울시가 ‘도로 위 집 짓기’를 구상한 이유는 외곽 중심의 대규모 택지 개발이 한계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서울의 유휴 부지가 거의 고갈된 상황에서 도로, 차고지, 유수지, 주차장 등 공공이 보유한 저이용 토지에 눈을 돌리게 됐다. 서울 땅값이 워낙 치솟다 보니 인공대지 조성 비용이 더 경제적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도로 위에 인공대지를 올리는 비용은 대략 평당 1000만원 안팎으로 추산되는 반면 서울 시내에서 토지를 매입할 경우 평당 1700억∼2000억원이 소요된다”며 “도로 위에 데크를 세우는 게 토지 매입보다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도로 위 집’의 안전성과 환경 영향에 대해 여론은 반신반의하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현재 건축공법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일단 인공대지가 소음을 감싸는 구조로 시공하고 터널 내에 흡음판을 설치한다. 차량 진동 차단·저감장치를 시공하고 차량화재에 대비해 방재시스템을 도입한다. 터널 내 환기는 적정한 환기·정화시스템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도로 위 주택’이 이미 선진국 주요 도시에 만들어졌거나 추진 중이라며 독일 ‘슐랑켄바더 슈트라세’, 프랑스 ‘리인벤터 파리’ 등을 사례로 들었다. ‘콤팩트시티’는 2021년 하반기 착공, 2025년 입주가 목표다. 시는 사업지를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해 사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공공주택지구는 도시계획위원회, 환경·교통영향평가 등을 통합심의로 받게 돼 사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시는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연내 지구 지정을 마무리하고 10월 중 국제현상설계공모로 설계안을 채택할 계획이다. 2020년 지구계획 및 주택건설사업 승인과 실시설계가 이뤄진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