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코로나 19'에도 2월 소비자물가 1.1% 상승

모스코스 0 415 0 0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다.

통계청은 3일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통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80(2015=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 상승했다고 밝혔다.

다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 1월(1.5%)보다는 상승 폭이 작았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월 0.8%로 떨어진 이후 8월 0.0%, 9월 사상 첫 공식 마이너스(-0.4%), 10월 0.0%, 11월 0.2%, 12월 0.7% 등에 머무는 등 12개월 연속 1%를 밑돌았다.

이후 지난 1월 1.5%로 올라선 뒤 두 달 연속 1%대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농산물 가격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석유류 가격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은 일부 품목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줬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공식 통계 기준으로 사상 첫 마이너스(-0.4%)를 기록한 데 이어 10월 보합(0.0%)에 머무는 등 1년 내내 1%대를 밑돌았다. 하지만 지난 1월 농수산물 및 석유류의 가격 상승과 지난해 저물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13개월 만에 0%대를 벗어났다.

141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7% 상승했는데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1월 4.1%로 크게 상승했으나 2달 만에 다시 0%대로 하락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 파악을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는 전년보다 0.6% 상승했다. 지난해 7월 1.0%를 보인 이후 7개월 연속 0%대를 보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5% 올랐다. 지난해 2월(1.1%) 이후 1년째 1%대를 기록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이 일부 품목에 한정적으로 영향을 줬다"며 "해외 단체여행비가 전월 대비 5.8% 하락했고 국제항공료도 4.2% 하락했으며, 코로나19로 졸업식이 취소되며 생화 가격이 11.8% 내렸다"고 설명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