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결혼 5년차 이내 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아이 없어요” [뉴스 투데이]

streem 0 406 0 0

2018년 통계 / 無자녀 2018년 대비 2.6%P 늘어나 / 주택 소유·외벌이 부부 자녀 많아 / 신혼부부 연평균 소득 5500만원

세계일보


지난해 6월 결혼한 강모(35)씨는 여느 신혼부부와 마찬가지로 집을 구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직장 문제로 서울에서 집을 얻으면서 은행에서 보증금 9000만원을 대출받아 월 30만원을 내는 반전세를 얻었다. 강씨는 “맞벌이를 하지만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여유가 없어 출산계획은 미뤘다”고 말했다.

역대 최저 수준의 출산율은 이유가 있다. 엄청난 사교육비와 육아부담,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에 젊은이들이 결혼을 안 한다.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갖지 않는다. 12일 통계청이 내놓은 ‘2018년 신혼부부통계’가 이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 통계에 따르면 2018년 11월1일을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한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가 없는 부부 비율은 40.2%로 나타났다. 지난해 37.5%보다 2.6%포인트나 늘어난 수치로, 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다는 의미다.

지난해 11월 기준 신혼부부는 132만2000쌍으로 전년 138만쌍보다 4.2%나 줄었다. 혼인 건수가 매년 감소한 영향이다. 신혼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74명으로 전년도 0.78명보다 0.4명 줄었다. 결혼 후 5년 동안 평균 1명의 자녀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세계일보


외벌이 부부일수록, 주택을 소유한 부부일수록 아이를 더 많이 낳았다. 평균 출생아 수는 맞벌이 부부(0.66명)가 외벌이 부부(0.83명)를 밑돌았고, 주택을 소유한 부부(평균 0.81명)는 무주택 부부(0.69명)보다 높았다.

맞벌이 신혼부부 비중은 47.5%로 전년도 44.9%보다 2.7%포인트가 늘었다. 맞벌이가 늘면서 소득도 늘어났지만 대출 증가율에는 절반에도 못 미쳤다.

부부의 연간 평균 합산소득(근로+사업)은 5504만원으로 전년도(5278만원)보다 4.3% 늘었다.

금융권 대출잔액을 보유한 부부의 비중은 85.1%였다. 10쌍 중 8쌍 이상은 대출을 안고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셈이다. 대출잔액의 중앙값(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 있는 값)은 1억원으로 전년도(9000만원) 대비 11.1%나 늘었다. 부부 합산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출산 비중이 낮아지는 경향도 확연했다.
 

세계일보


합산소득 1억원 이상 신혼부부의 자녀 출산 비중은 51.4%였고, 5000만∼7000만원 구간은 58.7%, 3000만∼5000만원 구간은 64.3%였다. 1000만∼3000만원 소득 구간의 출산 비중은 64.8%로 가장 높았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매년 4% 내외로 혼인 건수가 감소함에 따라 출생아 수도 감소하고 있다”면서 “특히 가구 소득이 높은 맞벌이 가구일수록 출생률이 줄어드는 것은 여성의 경제활동 여부와 출생아 수의 상관관계가 상당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