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능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하는 동물 모아보니

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본능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하는 동물 모아보니

그래그래 0 450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맨드릴 원숭이(사진=123rf.com)전 세계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동물도 바이러스의 전염을 피하기 위한 본능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MIT의 탐사보도 저널인 언다크의 22일 보도에 따르면 인간과 달리 동물이나 곤충은 감염에 직면하면 스스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백신을 만들어낼 수 없다. 결국 사회적인 동물 또는 곤충은 종 전체의 생존을 위해 물리적인 거리를 두는 ‘행동 면역’을 선택한다.

예컨대 닭새우과의 카리브해 바닷가재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질병에 반응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이 바닷가재가 전염성이 강한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소변에 독특한 냄새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이 포함돼 배출된다. 이 냄새가 다른 바닷가재의 접근을 피하고 감염을 막는 신호로 이용되는 것.

이러한 방식은 바닷가재 뿐만 아니라 물고기나 곤충, 조류, 원숭이 등 다양한 동물에서 관찰된다. 이들은 병든 동물과 병든 동물을 멀리하려는 또 다른 동물을 직감적으로 구분할 줄 아는 것 뿐만아니라 한 그룹에서 질병이 발생할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것이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개미에 QR코드를 부착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미와 건강한 개미의 사회적 관계 변화를 관찰한 실험 장면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꿀벌들(사진=일리노이대)과거 스위스 로잔대학 연구진은 이 같은 사실을 입증할만한 실험을 진행했다. 물리적 접촉을 통해 개미집 내에 퍼져서 1~2일 내 개미를 병들게 하거나 죽게 만드는 곰팡이에 감염된 개미를 개미집에 퍼뜨렸다.

그 결과 감염된 개미의 사회적 행동이 크게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곰팡이에 노출된 개미는 건강한 개미와 완전히 동떨어진 개미집에 머물렀으며, 건강한 개미들 아픈 개미들은 서로 분리돼 물리적 거리를 유지했다. 이러한 행동은 해당 개미집의 생존을 위한 것이며, 결과적으로 여왕개미와 어린 개미가 감염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됐다.

인간보다 먼저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한 곤충 중 하나는 꿀벌이다.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진은 복잡한 사회를 이루고 밀집 생활을 하는 꿀벌 역시 바이러스에 감염된 벌과 일종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함으로써 집단 감염을 막는다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카리브해 바닷가재 자료사진(123rf.com)아프리카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동물에게서도 바이러스에 의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살펴볼 수 있다. 미국 과학전문매체인 사이언스타임즈에 따르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맨드릴 원숭이는 자신의 대변 냄새를 통해 주위에 감염 사실을 알린다. 다만 다른 동물이나 곤충과 다른 점이 있다면, 맨드릴 원숭이는 다른 원숭이의 감염사실을 알고도 가까이 다가가 털을 다듬거나 손질하는 등의 사회적 행동을 이어간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사이언스타임즈는 “아마도 맨드릴 원숭이 종에게 사회적 유대관계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라면서 “이러한 모든 행동을 종합하면 동물과 곤충의 행동은 인간이 전염병에 반응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관계는 인간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동시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감염을 피하고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


온카 


카지노커뮤니티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