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200만분의 1 확률..극희귀 '파란 바닷가재' 낚은 英 어부

그래그래 0 218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현지 어부 톰 램본(25)은 얼마 전 바다에 설치해둔 어망에 한 번도 본 적 없는 특이한 색깔의 바닷가재가 낚여 있는 걸 확인했다. 다른 바닷가재와 함께 어망에 걸린 가재는 보기 드문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영국국립바닷가재인공부화장 페이스북

200만분의 1 확률로 나타나는 희귀 푸른 바닷가재가 잡혔다. 21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은 영국 남서부 콘월주 해변도시 펜잰스에서 희귀 푸른 바닷가재가 낚였다고 보도했다.

현지 어부 톰 램본(25)은 얼마 전 바다에 설치해둔 어망에 한 번도 본 적 없는 특이한 색깔의 바닷가재가 낚여 있는 걸 확인했다. 다른 바닷가재와 함께 어망에 걸린 가재는 보기 드문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램본은 “그런 바닷가재는 처음 봤다. 운이 좋았다”고 전했다.

영국국립바닷가재인공부화장 페이스북

하지만 가재는 뭍으로 가지고 올라오기에 너무 작은 새끼였고, 어부는 사진을 찍은 뒤 가재를 다시 바다로 돌려보냈다. 그는 “인공부화장에 사진을 보냈더니 200만분의 1 확률로 나타나는 매우 특별한 가재라고 하더라. 조금만 컸어도 인공부화장으로 데려갔을 텐데 크기가 너무 작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영국국립바닷가재인공부화장 관리자 벤 마샬은 “푸른 바닷가재는 아주, 매우 보기 드물다. 위장이 어렵고 포식자에게 먹이로써 발견될 확률이 높은 관계로 그 수가 적다. 하지만 12인치 이하의 어린 물고기는 포획을 금지한 콘월주 방침에 따라 방사됐다”고 밝혔다.

영국국립바닷가재인공부화장 페이스북

바닷가재가 이런 푸른색을 띠는 이유는 뭘까. 2005년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로널드 크리스텐센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푸른 바닷가재의 특징적 색깔은 유전적 결함 때문이다.

바닷가재는 보통 아스타잔틴이라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보유하고 있다. 붉은색을 유발하는 아스타잔틴은 생체 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한 색소단백질로 존재한다. 살아있을 때는 짙은 초록색이던 가재가 삶으면 붉게 변하는 이유는 가열로 색소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아스타잔틴의 빨간색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푸른 바닷가재는 유전적 결함 때문에 체내 단백질이 과잉 생산되면서 아스타잔틴의 붉은색보다 푸른색이 눈에 띄게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국립바닷가재인공부화장 페이스북

당시 연구를 주도한 크리스텐센 교수는 “아마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푸른 바닷가재가 태어날 거다. 엄지손가락처럼 포식자 눈에 금방 띄어 살아남지 못하는 것일 뿐”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