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1년 계속된 장애인단체 출근길 기습시위…“굳이 출근시간에 해야 하나”

Sadthingnothing 0 198 0 0
장애인 이동권 요구하며 지하철 기습시위
저상버스·지상 엘리베이터 확대 방침에도
‘믿지 못한다’며 지하철 운행 저지 계속
시민들 “처음엔 응원···점차 부정 인식 생겨”
/연합뉴스
[서울경제]

장애인들의 출근시간대 지하철 기습 시위가 연이틀 계속되면서 열차 운행이 지연돼 시민들의 불만이 커져가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단체는 이동권이 완전히 보장될 때까지 시위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라 시민들의 불편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동권 관련 법안이 단기간에 통과되기 어려운 등 제약이 커 해결책을 모색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5일 서울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는 지난해 1월부터 계속돼 오고 있다. 이들은 전동 휠체어로 지하철 승하차를 반복하며 운행을 방해하는 기습 시위를 벌인다. 기습 시위는 한 달에 한 번 주기로 진행됐지만 지난해 말부터는 일주일 간격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설 연휴가 지난 3일과 4일 이틀 연속으로 2호선 왕십리역과 4호선 한성대입구역, 동대문역에서 진행되는 등 주기가 잦아지면서 운행 지연도 늘어나 시민들의 불편도 커지고 있다.

장애인 단체가 정부와 사회에 요구하는 사항은 이동권 확보를 골자로 한다. 또 장애인 탈시설 지원법, 장애인 평등교육법, 장애인권리보장법 등의 통과를 주장한다. 이 중 저상버스 의무 도입 등의 내용을 담은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은 지난해 12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하지만 장애인 단체는 올해에도 차체 바닥이 낮고 경사판이 설치돼 휠체어 이용자가 쉽게 탑승할 수 있는 저상버스 확대와 지하철 역사 외부와 내부를 잇는 엘리베이터 설치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 모두 관련 시설 개선에 목표치까지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라 단기간 내 갈등이 봉합되긴 어려울 전망이다. 우선 서울시는 2025년까지 저상버스 운행가능 노선 전부를 저상버스를 운행하도록 하는 조례를 바탕으로 차츰 저상버스 비율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현재 저상버스 운행 가능 노선의 약 67%에서 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또 서울교통공사는 지상 엘리베이터가 없는 22개 역 중 18개에 대해 올해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장애인 단체는 이러한 주장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상 엘리베이터를 추가 설치하기 위해서는 추가 예산이 책정돼야 했지만, 올해 예산에서 관련 사업비가 전액 삭감됐다고 주장한다. 지난해 12월 지하철 시위 후 장애인 단체가 마포구 공덕역 인근의 홍남기 부총리의 자택 앞에서 시위를 이어간 것도 관련 예산 반영을 요구하기 위함이었다.

장애인 단체의 기습 시위가 계속되며 시민들의 불편도 커지고 있다. 특히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기습시위로 지하철 운행을 막으며 혼란이 가중된다는 입장이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A(29) 씨는 “처음 시위를 접했을 때는 ‘얼마나 불편하셨으면 이렇게까지 할까’ 싶은 마음에 응원했다”면서도 “점차 출근길 시위가 잦아지자 회사에 지각하는 경우까지 생기면서 점점 부정적인 인식이 생기는 중”이라고 말했다. 마포구 소재 직장을 다니는 이모(30) 씨는 “지하철이 다니지 않으면 버스는 만차라 타지 못하고 택시도 잘 잡히지 않는다”며 “굳이 출근길에 시위를 하면서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줘야 하나 싶다”고 밝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