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산업부, 도시가스에 '수소 20% 혼입' 실증 추진

모스코스 0 185 0 0

정부가 도시가스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수소 공급확대를 위해 수소 20% 혼입을 목표로 한 실증을 추진한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박기영 에너지 차관의 주재로 가스안전공사, 가스공사, 도시가스사, 에너지기술평가원 등과 함께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발족하고 간담회를 개최했다.

앞서 정부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도 도시가스 수소 혼입이 포함된 바 있다.

도시가스 수소혼입은 도시가스 공급배관에 수소를 도시가스와 혼입해 공급하는 것으로 가스도매사업자(가스공사)의 정압기지 또는 일반도시가스사업자의 정압시설에 수소혼입시설을 설치, 배관망을 통해 '수소+천연가스'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다.

산업부는 2026년까지 도시가스 수소 20% 혼입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도시가스 배관 및 사용 기기의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에 대한 실증을 추진한다.

도시가스 수소혼입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면 수소가 혼입되는 만큼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발생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연간 천연가스 사용량에 수소를 10vol% 혼입하면 연간 129만톤의 천연가스 사용이 줄고 이를 통해 연간 355만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기대되고 전국의 도시가스 배관망(5만km)을 사용해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정부의 실증을 통해 수소혼입이 상용화되면 가정용 가스보일러 및 가스레인지와 산업용 보일러, CNG 버스는 물론 발전용 가스터빈 등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모든 가스기기에 수소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  

다만 크기가 작고 가벼운 수소의 특성으로 인해 수소가 금속 내부로 확산돼 금속을 파괴시키는 현상인 수소취성이나 수소 누출, 도시가스와 수소의 분리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시가스 배관망 및 사용기기에 대한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산업부는 2026년 도시가스 수소 20% 혼입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도시가스 배관 및 사용기기의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에 대한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 가스안전공사, 가스공사 등 관련 공공기관 및 민간 도시가스사가 참여하는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발족한다.

수소혼입 실증을 위해 1단계로 2023년부터 정부 R&D 과제를 통해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을 검증하고, R&D과제 추진에 필요한 시험설비는 올해 2분기부터 가스공사 평택인수기지에 구축을 시작할 예정이다.

2단계로 2024년부터는 R&D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배관재질, 배관망 형태 및 주민수용성 등을 고려해 제한된 구역에서 실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혼입 실증을 추진하고 2026년 '도시가스사업법'을 개정해 수소혼입을 제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스안전공사는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수소취성 평가, 수명예측 및 사용기기의 안전성 검증을 담당하고 가스공사 및 도시가스사 등은 해외 실증사례 분석, 시험설비 구축, 수소혼입 실증 및 운영기술 개발을 담당하기로 했다.

박기영 차관은 "도시가스 수소혼입은 온실가스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수소 공급의 경제성 제고와 수소경제를 가속화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고 수소가 수송용 연료뿐만 아니라 가정과 산업시설을 위한 주요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도시가스 배관망은 2012만개의 수요시설에 연결돼 국민생활 안전과 직결되므로 안전성 검증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