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한국인 평균 키, 40년 전보다 약 5.8cm 커졌지만 ‘이것’만은 그대로…

보헤미안 0 186 0 0

한국인 평균 키가 40년 전보다 약 5.8cm 커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한국인의 평균 키가 40년 전보다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커졌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그러나 신체 비율, 머리둘레 등은 그대로였다. 하체가 긴 체형이 많아졌지만 남성의 절반가량은 비만이었다.

산업통산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30일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한국인의 치수, 체형, 형상 등을 데이터로 수집하는 국가 주도 사업이다. 이번 결과는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0~69세 한국인 6천839명의 데이터로 이뤄져 있다. 측정 항목은 직접 137개, 3차원 293개 등 총 430개였다.

조사 결과,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 여성 159.6㎝로 1979년 1차 조사 때보다 남성은 6.4㎝, 여성은 5.3㎝ 각각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다리 길이 비율(샅 높이/키)’이 모든 연령대에서 2003년의 5차 조사 때보다 높아졌다. 남성은 43.7%에서 45.3%로, 여성은 44.4%에서 45.8%로 각각 늘어났다.

그러나 신체 비율과 머리둘레 등은 그대로였다. 얼굴 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 지수’는 1990년대 이후 7.27.3을 유지했으며, 머리너비 지수(머리너비/머리두께)도 동양인의 단두형 비율인 0.840.89를 기록했다.

한편, 체질량지수(BMI)는 남성만 증가했다. 1차 조사에서 남성의 체질량지수는 22.1이었는데 8차 조사에선 24.9를 기록했다. 여성의 체질량지수는 40년간 22.023.1에서 증감했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22.6을 기록했다.

비만율도 마찬가지였다. 남성은 47.0%가, 여성은 22.6%가 비만이었다. 특히 여성은 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줄어든 가운데 5060대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국가 주도의 데이터 사업으로 40년간 축적한 데이터에는 격동의 시대를 거친 한국인의 인체 변천사가 담겨있다”며 “한국인의 몸에 맞는 제품 및 공간 설계에 활용돼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온 인체정보 데이터가 디지 전환 시대의 미래지향적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전용 온라인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