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2개 전쟁 중 깜깜이 입원' 美국방 파장 확산…"바이든, 신임

북기기 0 65 0 0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 전쟁으로 세계가 안보 위기에 빠진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몰랐던 로이드 오스틴(70) 국방 장관의 '깜깜이 입원'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 국방부는 오스틴 장관이 지난 5일(현지시간) 병상에서 일부 업무를 재개했고 바이든 대통령과도 지난 6일 통화했다며 진화에 나섰으며, 바이든 대통령이 오스틴 장관을 신임한다는 보도도 나왔다.

오스틴 장관은 지난 1일부터 7일 현재까지 수술 합병증으로 입원 중인데, 백악관은 물론 조직에서 유사시 장관의 역할을 대행해야 할 부장관에게까지도 입원 사실이 뒤늦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지난 4일에서야 오스틴 장관의 입원 사실을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에 보고했고,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은 3일간 국방부 장관이 제 자리에 없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여기에 더해, AP통신은 7일 익명의 당국자를 인용, 국방부의 2인자인 캐슬린 힉스 부장관도 백악관이 통지받은 시점과 비슷한 시기에 장관의 입원 사실을 통지받았다고 보도했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던 힉스 부장관은 오스틴 장관의 입원 2일차인 2일부터 장관의 임무 중 일부를 대행했는데, 그 당시만 해도 사유를 모른 채 장관 업무 일부를 대행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리고 힉스 부장관은 4일께 오스틴 장관의 입원 사실을 통보받았지만 '장관이 5일 업무에 정상 복귀한다'는 말을 듣고는 즉각적인 휴가 종료 및 업무 복귀 결정을 하지 않았다고 AP는 전했다.

결국 미국 국방부의 1, 2인자가 모두 자리를 비운 상황에서 그 사실을 일반 국민들은 물론 '군 통수권자'인 바이든 대통령도 제때 파악하지 못한 셈이다.

이번 일과 관련, 미국 정부 업무의 기본 원칙인 '투명성'이 결여됐다는 지적과 함께,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안보 위기가 심화한 상황에서 대통령조차 한동안 몰랐던 국방부 수뇌부의 '공백'이 있었다는 데 대해 미국 사회에서 거센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