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클럽감염' 막으려면…"노래방·헌팅포차 등 위험도 재평가"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에서 시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노래방을 거쳐 지역사회로 확산하면서 유흥시설 등에 대한 방역대책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클럽, 노래방과 같이 코로나19 확산 가능성이 높은 '초고위험' 시설을 분류해 구체적인 지침을 만들고, 이태원과 같이 유흥시설이 밀집해 '연쇄감염'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특별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앞서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의 전환이 전국 모든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이뤄졌다면, 이제는 시설·지역별 위험도에 따라 '차등' 대응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1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이 발생한 이후 서울 마포·도봉·관악구에 있는 노래방 3곳이 '반복 대량 노출장소'로 지목됐다. 3곳 가운데 2곳은 각각 '4차 전파'가 일어나는 연결고리가 됐다.
의료계는 이번 사태에서 보듯 다중이용시설 중에서도 클럽, 노래방과 같은 곳은 앞으로도 코로나19 확산의 온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밀접한 접촉이 이뤄지는 클럽이나 노래를 부를 때 비말(침방울)이 튈 수밖에 없는 노래방에서는 한두명의 코로나19 감염자가 방문한다고 해도 전파가 광범위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의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다중이용시설 위험도를 재평가해 '초고위험' 시설을 분류하고, 각 시설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 방역지침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주점이라고 해도 테이블 간격이 충분히 떨어져 있고, 다른 일행과 교류 없이 술을 마시는 일반 주점과 각기 다른 일행과 만남이 목적인 헌팅포차와 같은 주점의 전파 위험도는 달리 평가해야 한다.
또 불특정 다수가 한 공간에 모이는 클럽에는 규모에 따른 입장 가능 인원 설정이 필요하고, 룸으로 구분된 노래방과 같은 업소의 경우 공간에 대한 환기·소독 지침을 강화하는 게 더 시급하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클럽, 헌팅포차 등을 유흥시설이란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 관리하는 건 현실성이 없다"며 "시설마다 위험도를 따져 단계적으로 접근하고, 방역지침도 일괄적으로 적용할 게 아니라 각 시설 특성에 맞게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확진자 다녀간 코인노래방(서울=연합뉴스) 2020년 5월 15일 오후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것으로 알려진 관악구 한 코인노래방에서 방송 관계자가 취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방역당국 역시 전국의 모든 다중이용시설이 아닌 특정 지역이나 시설 단위로 방역 조치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모든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운영제한을 강화하면 방역에는 도움이 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사회·경제활동을 무한히 제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시설·지역을 중점 관리해야 효과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할 수 있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앞으로는 시설별 위험도를 조금 더 세분화하고, 조금 더 미세하게 지역별·시도별 조치를 강화하는 그런 전략들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 계속 보완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흥시설이 밀집된 지역의 경우 이용자들이 여러 업소를 이동하며 연쇄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촘촘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태원 클럽 확진자의 경우에도 하룻밤에 여러 개의 클럽을 돌아다니거나 클럽 방문 전후 주점과 같은 다른 유흥시설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았다. 한 업소에만 감염자가 있어도 이용자들의 이동 과정에서 여러 개 업소로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
정기석 한림대의대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은 "이태원, 강남 등 유흥업소가 밀집된 지역은 특별관리해야 한다"며 "특별관리란 지하 술집에 환기를 요구하는 비현실적인 방역지침으로 단속하란 뜻이 아니라 업소 관계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현실적인 방역대응책을 고민하란 것"이라고 강조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