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올해 벌써 400여 마리..美 해안서 '매너티' 죽어나가는 이유

그래그래 0 303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매너티 자료사진 123rf.com

미국 플로리다에 서식하는 매너티가 죽은 채 발견되는 일이 잦아져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포유류 바다소목 매너티과의 총칭인 매너티는 열대와 아열대의 산호초가 있는 연안에서 주로 생활하는데, 플로리다 어류 및 야생동물보호국(FFWC)은 올해 들어 최소 432마리의 매너티가 죽은 것으로 파악했다.

같은 지역에서 지난 한 해 동안 죽은 매너티의 수가 637마리, 2019년에는 607마리인 것과 비교하면 불과 3개월 만에 예년의 절반 이상이 죽은 셈이다.

즉각 원인 조사에 나선 FFWC 측은 매너티의 떼죽음이 추운 날씨와 개발로 인한 먹이 감소, 오염된 수로 등 다양한 영향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초식동물인 매너티는 해초를 먹고 사는데, 해당 지역 인근에서 꾸준히 개발 공사가 이뤄지면서 주 먹이인 해초가 감소했다.

매너티는 먹을 것을 찾기 위해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수영해야 했지만, 수개월 동안 미국을 강타한 강추위 때문에 수온이 낮아져 깊은 바다까지 이동하지 못했다. 평년보다 훨씬 낮은 기온의 바다는 열대의 따뜻한 수온을 좋아하는 매너티에게 힘든 환경이었다.

미국 플로리다 해안에서 서식하는 매너티 (FFWC 제공)미국 플로리다 해안에서 서식하는 매너티 (FFWC 제공)

 

플로리다 생물다양성 센터의 재클린 로페즈 박사는 “매너티는 얼어 죽는 것보다 굶주림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추운 날씨에 매너티가 갈 수 있는 바다가 줄어들었고, 인간 활동 등으로 수질도 나빠지면서 매너티가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이 줄어들어만 갔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들어 죽은 430여 마리의 매너티 중 낮은 수온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죽은 매너티가 최소 41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20년 한 해 동안 낮은 수온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죽은 매너티의 수는 52마리였다.

개발로 인한 해초 감소와 오염된 수로 등도 매너티 죽음의 원인으로 꼽히지만, 현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매너티 떼죽음 원인을 분석할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FFWC 측은 “인력 부족과 제한된 상황으로 죽은 매너티의 약 70%는 부검조차 하지 못했다”면서 “정확한 사망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