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지난해 테슬라 공장서 코로나 환자 대거 발생한 이유는 머스크 탓"

그래그래 0 299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테슬라 프리몬트 공장(사진=AP 연합뉴스)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테슬라 공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몇백 명이나 발생한 이유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당시에 직원들에게 업무 복귀를 무리하게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워싱턴포스트 등 현지언론이 13일(현지시간) 폭로했다.

보도에 따르면, 앨러미다카운티 프리몬트에 있는 테슬라 공장은 당시 정부 관계자들이 적어도 그해 6월까지 가동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는데도 그보다 한 달 앞선 5월 조기 재가동을 추진했다.

일론 머스크가 지난해 5월 11일 트위터에 공개한 프리몬트 공장 조기 재가동 소식.(사진=일론 머스크/트위터)

정부의 봉쇄령을 “파시스트”라고 맹비난했던 머스크 CEO는 그해 5월 11일 트위터에 “테슬라는 앨러미다카운티의 규정을 어기고 오늘부터 생산을 재개한다. 난 관계자들과 대화하겠다”면서 “누군가가 체포된다면 나만 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며칠 뒤 머스크는 앨러미다카운티 보건부에 공장 안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 모두 보고하겠다는 조건으로 공장의 재가동을 허용하기로 당국과 합의했다.

그런데 워싱턴포스트가 정보공개법에 따라 13일 입수한 앨러미다카운티 보건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그해 12월까지 프리몬트 공장에서 직원 약 450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공장에서는 거의 1만 명에 달하는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지난해 머스크는 이 공장의 직원들에 관한 처우로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당시 공장을 재개한 뒤 테슬라는 직원들에게 생산라인에 복귀하는데 불쾌함을 느끼면 집에 있어도 된다면서 그렇게 해도 일자리를 잃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그해 6월 두 직원이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공장으로 업무 복귀를 하지 않아 해고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두 직원은 상사들과 주기적으로 연락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고 말했지만, 인사부 측은 이들 직원은 출근을 하지 않고 연락도 잘 되지 않아 해고 처리했다고 밝혔다.

6명의 또 다른 공장 직원은 시설의 안전하지 않은 작업 환경에 대해 폭로하기도 했었다. 인터뷰에 나선 이들 직원 중 일부는 언론과 대화할 권한이 없어 직위 상실을 우려해 익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들 노동자는 테슬라가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직원들에게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를 장려하는 것은 물론 시설 소독 등 방역 대책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 직원은 직원들이 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불평했다.

머스크는 줄곧 코로나 유행에 관한 대응으로 비난을 받아왔다. 지난해 9월 그는 코로나로 인해 심각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없기에 백신을 접종받는 것에 관심이 없다고 말햇다.

머스크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도 미국 전역에 걸쳐 시행된 봉쇄 조치는 중대한 실수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봉쇄령은 합리성이 뒷전이 되는 뜨거운 문제”라면서 “본질적으로 올바른 일은 온 나라를 위해 봉쇄령을 내리지 않고 폭풍이 지나갈 때까지 격리 조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더 큰 이익이 무엇인지 더 잘 평가했어야 했고 봉쇄령은 해결책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테슬라 프리몬트 공장은 지난달 22~23일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부품 부족 현상 때문에 인해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