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LG전자, 3Q 영업익 7814억...역대 3분기 최대

비공개 0 640 0 0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전경.ⓒLG전자매출 15조7007억원 신기록...생활가전 5조 돌파
MC, 영업손실 1612억…전분기 절반 수준, 적자축소 뚜렷


LG전자가 3분기 모바일 사업 적자를 큰 폭으로 축소하며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TV와 가전도 선방하면서 매출액은 역대 3분기 실적 기준 최대, 영업이익은 지난 2009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LG전자는 30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실적으로 매출 15조7007억원, 영업이익 781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15조4270억원) 대비 1.8%, 영입이익은 전분기(7488억원) 대비 4.1% 각각 증가했다.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액은 46조2450억원으로 역대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1.5% 늘었다.

3분기에는 스마트폰 적자 폭 축소가 전체 실적 개선 요인으로 작용했다. 스마트폰 생산라인의 베트남 완전 이전에 따른 고정비 축소와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폰 판매 확대가 실적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스마트폰이 주력인 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MC)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액 1조5223억원, 영업손실 1612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생산지 효율화와 원가개선 영향으로 영업손실은 전분기(3130억원)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듀얼스크린’으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 5G 스마트폰 ‘LG V50 씽큐(ThinQ)’의 판매 호조가 이어졌지만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수요가 줄고 북미시장에서 5G 전환이 늦어져 매출액은 전년동기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

회사측은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 원가절감 등을 통한 사업구조 개선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다”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후지원을 통해 믿고 오래 쓸 수 있는 스마트폰 브랜드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생활가전이 주력인 홈어플라이언스앤에어솔루션(H&A)사업본부는 3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5조3307억원, 영업이익 4289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북미·유럽·아시아 등 해외 전 지역의 성장세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9.9% 늘었고 역대 3분기 가운데 가장 많다. 3분기 기준 매출액이 5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8-2019 LG전자 사업부문별 영업이익 추이.(단위:억원, 자료:LG전자)ⓒ데일리안
TV가 주력으로 H&A본부와 함께 양대 축을 이루는 홈엔터테인먼트(HE)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액 3조8662억원, 영업이익 3180억원을 기록했다. 성수기에 진입한 가운데 중동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의 판매가 늘면서 매출액은 전년동기와 전분기 대비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경쟁심화와 환율악화로 전년동기 대비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 크게 늘었다. 올레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가 늘면서 영업이익률은 8.2%를 기록했다.

자동차부품을 담당하는 전장솔루션(VS·Vehicle Component Solutions)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3401억원, 영업손실 60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신규 프로젝트의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하지만 신규 프로젝트의 양산 비용 투입 등으로 수익성은 감소했다.

비즈니스솔루션(BS·Business Solutions)사업본부는 매출액 6987억원, 영업이익 668억원을 냈다. 발광다이오드(LED) 및 대형 사이니지의 판매가 늘고 미국, 유럽 등에서 고출력 프리미엄 태양광 모듈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매출은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늘었다. 프리미엄 디지털 사이니지의 매출 확대와 태양광 모듈의 생산성 향상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0.3% 늘었다.

회사측은 국내 생활가전 시장이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하며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외 시장은 무역분쟁, 국제정세의 불안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H&A사업본부는 프리미엄 및 신성장 제품의 매출 확대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마케팅 비용의 효율적인 투입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전년 동기 수준 이상의 수익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글로벌 TV 시장은 수요 정체가 예상되나 올레드TV,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시장의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HE사업본부는 연말 성수기에 따른 경쟁심화로 마케팅 비용의 증가가 예상되지만 효율적인 자원 투입으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수기에 진입하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판매 경쟁이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MC사업본부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듀얼스크린을 적용한 프리미엄 신제품의 글로벌 출시를 통해 매출을 확대하고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에 기반한 원가 효율화를 통해 사업구조 개선도 지속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은 늘어나겠지만 생산지 효율화로 원가 경쟁력이 높아진 만큼 전년 동기 대비 영업손실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부품 시장은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고 완성차 업체의 구조조정이 지속되면서 수요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는 “국가별·자동차업체별 전기차 관련 정책이 변하고 있어 수요의 변동성도 높아지고 있다”며 “VS사업본부는 대외 환경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단기적으로는 효율적인 자원관리와 원가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는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역시 주요 국가들의 태양광 모듈 설치 확대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BS사업본부는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다양한 제품군을 앞세워 프리미엄 수요에 적극 대응해 매출 확대와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 태양광 모듈 사업은 고출력 고효율 제품에 집중할 방침이다.

데일리안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