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기혼 여성 고용률, 회복하려면 21년 걸려

모스코스 0 222 0 0

기혼 여성이 결혼 당시 고용률을 회복하기까지 21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혼 여성과 기혼 여성 간의 고용률 격차가 14.0%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 2009년~2019년 자료를 사용해 20년간 여성의 평균 고용률 변화를 분석했다. 단 고용의 '질'(質)과 관련된 내용은 이번 보고서에선 조사되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 연차 기준에 따른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결혼과 함께 크게 감소하다가 결혼 5년차를 기점으로 조금씩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기혼 여성의 결혼 당시 고용률은 68.1%였는데 결혼 1년차에는 고용률이 56.2%로 감소했다. 결혼 5년차에는 40.5%로 최저치를 기록한 후 결혼 6년차부터 고용률이 조금씩 상승해 결혼 21년차가 돼야 결혼 당시의 고용률을 회복했다.

배우자가 있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2009년 48.8%에서 2019년 57.6%까지 증가했지만 2019년에도 미혼 여성 기혼 여성 간 고용률은 약 14.0%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는 2019년 기준 기혼 남성의 고용률이 92.3%로 미혼 남성의 고용률인 69.7%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 여성의 경우와는 반대였다.

미혼 여성과 기혼 여성의 고용률 격차는 초대졸 이상의 고학력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기준 고졸 이하 학력의 미혼 여성과 기혼 여성의 고용률 격차는 약 3.0%에 불과했지만 고학력의 경우 격차가 15.9%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기혼 여성의 결혼 이후 취업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도 실증 분석했는데 결과는 출산이 기혼 여성의 취업을 가장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요인들이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직장 여성의 경우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유지율이 약 29.8% 감소했다. 이어 두 자녀, 세자녀까지는 부정적 영향이 비슷했지만 자녀가 4명 있는 경우에는 직장 여성의 취업유지율이 약 38.4%까지 감소했다.

미취업 여성도 새롭게 노동시장에 진출하는 취업확률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은 출산이었다. 미취업 여성이 자녀가 1명 있을 경우 취업확률은 7.2% 감소하고 두 자녀와 세 자녀가 있을 경우에는 각각 17.6%p, 16.5% 감소했다.

다만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는 직장 여성의 취업유지율이 약 1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동거가 가사나 육아 등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출산으로 인한 여성의 육아부담이 경제활동 중단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확대하고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기혼 여성이 필요할 때는 다시 취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에 대한 직업교육 혹은 재취업 교육 등의 지원을 확대 및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