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체중보다 정확하다… 비만 감별하는 ‘이것’

보헤미안 0 155 0 0

비만임을 확인하려면 체중계, 체질량지수보다 허리둘레를 재봐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재택근무, 운동 부족 등으로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초기부터 관리해야 심근경색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비만 여부는 체중이나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둘레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재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정확하게 허리둘레를 잴 방법을 소개한다.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게 아니라 체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인 상태를 뜻한다. 그러므로 체중계로는 비만 여부를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키가 크거나 근육량이 많은 사람이 비만인 사람보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도 잦다. 비만 여부를 가려내려면 허리둘레를 알아야 한다. 피하지방보다 복강 내 내장지방의 축적이 비만과 상관관계가 깊기 때문이다.

실제 대한비만학회의 연구에 따르면 심근경색 및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 위험도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총사망률)은 허리둘레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심뇌혈관질환과 허리둘레의 관련성은 BMI 변수를 보정했을 때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 BMI는 정상이지만 허리둘레가 늘어나면 총사망률도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는 허리둘레가 BMI보다 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을 더욱 명확하게 예측한다는 의미다.

허리둘레는 줄자만 있으면 잴 수 있다. 먼저 양발 간격을 25~30cm 정도로 벌리고 서서 체중을 두 발 균등히 분배시킨다. 그리고 줄자를 갈비뼈 가장 아래와 골반의 가장 윗부분(장골능)의 중간 부분에 두른다. 대게 배꼽의 위쪽이다. 측정할 때 숨은 편안히 내쉬고 줄자는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도록 한다. 심한 비만이거나 출산 후의 여성은 피하지방이 허리와 겹쳐져 실제보다 길게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으로 피하지방을 들어 올린 뒤에 측정해야 한다.

동양인 기준으로 성인 남성은 90cm, 여성은 85cm 이상일 때 복부비만으로 진단한다.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허리둘레는 남성 82.9cm, 여성 78.6cm라고 한다. 복부비만과 비만은 심각한 합병증 외에도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의 대사 증후군 발병 확률을 높이는 위험 인자이므로 초기부터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