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160만원 노동…“손톱에 구멍이 나요, 산이 튄 방울대로”

북기기 0 138 0 0




2023년, 예순살 윤정민은 공장을 떠난다. 스물한살 최예린은 공장을 떠났다. 떠나며 질문을 남겼다. 왜 한국은 소수의 인재만이 아닌, 다수 노동자가 주인공인 성공을 꿈꾸지 못하는가. <한겨레>는 세 차례에 걸쳐 평범한 노동자의 숙련과 가치를 놓친 혁신과 경제 성장이 개인과 한국 사회에 남긴 불안과 경고를 전한다.
 


 

0002623059_001_20230112125701264.jpg?type=w647

공장 노동자로 취업했던 2001년 생 김수혁(가명)씨(왼쪽)와 2002년생 최예린씨. 강창광 선임기자, 김혜윤 기자 chang@hani.co.kr
 

0002623059_002_20230112125701299.jpg?type=w647



특성화고 졸업, 자격증 있음, 일에 대한 열정 또한 있음. 2002년생 최예린과 2001년생 김수혁(가명)은 2021년 각자의 첫 일터에 들어섰다. 수혁은 현대기아차의 4차 협력사에, 예린은 스마트폰에 들어갈 인쇄회로기판(PCB)을 도금하는 공장에 취직했다.

둘의 학력·나이·업종·직업은 1980년대 후반 민주노조를 만들고, 초기 사회보장제도의 대상이었으며, 중산층을 꿈꿨던 베이비붐 세대 생산직 노동자 윤정민과 비슷하다. 그때나 지금이나 한국 제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25~3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 또한 같다. 심지어 수혁과 예린은 인구 감소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출생아 수 40만명 시대에 태어난 ‘귀한’ 아이들이다. 달라진 것, 이상한 건 시대뿐이다. “최소한의 노동권이요? 그거 다 개뿔이에요.” 예린이 말했다.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제조업의 효율적인 생산 구조 한편에서 이들은 잠시 머물다, 도망쳤다.
 

기계 보조



수혁은 기계가 좋았다. 어렸을 때부터. “과학자 같은 꿈도 꾸다가 현실적으로 생각하니 기술을 익히면 되겠다 싶었어요.” 수혁은 이른 나이에 취업이 가능하고 대학 입학에도 수월할 수 있다는 말에 특성화고 진학을 결정했다. 중학교 시절 비슷한 생각을 지닌 같은 반 친구들은 9명으로, 3분의 1 정도였다.

당연히 기계과를 택했다. 철 깎고 구부리는 게 재밌었다. 3학년 2학기, 현장실습생 신분으로 시작한 첫 직장에도 기계 30대가 즐비했다. 금속을 깎고 가공하는 자동선반·밀링 기계다. 좋아했던 기계와의 불화는 이전까지 생각해보지 못했다.

손이 많이 가는 기계였다. 기계는 끊임없이 ‘칩’이라고 부르는 기름 먹은 찌꺼기를 토해냈다. 기계를 식히고 원활히 돌리기 위해 틈나는 대로 절삭유도 채워줘야 했다. 쉴 새 없이 기름을 먹이고, 찌꺼기가 가득 찬 ‘칩받이’를 마대 자루에 부어 나르는 일이 수혁의 업무였다. 기계의 양육자, 실은 보조자였다.

2021년 기준 노동자 10만명당 1천대, 세계 어느 나라에 견줘도 한국의 산업용 로봇 밀도는 압도적이다. 범용 제품을 빠르게 만들어내는 데 유리한 대신 다수 노동자의 자율성을 소외시키는 한국 특유의 기계화·자동화는 이제 소규모 하청 공장에도 널리 퍼져 있다.

기계 사이에서 수혁 같은 생산직 노동자의 역할은 많지 않다. 정준호 강원대 교수는 “대기업이든 하청기업이든 매뉴얼에 따라서만 움직이거나 기계를 관리하는 저숙련 반복 노동을 맡게 되었고 대체 가능한 노동자가 되었다. 그렇다고 노동 강도가 약해진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많은 투자 비용이 들었기에 기계는 계속해서 돌아가야 했고, 누군가 옆에서 그런 기계를 관리해야 했다. 수혁에게 맡겨진 역할이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