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日 모든 초등교과서 "독도는 고유 영토"…조선인 동원 '강제성'도 희석

북기기 0 117 0 0



일본 초등학생들이 내년부터 사용하게 될 사회 교과서에서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병에 관한 기술이 '강제성'을 희석하고 '자발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경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한국 땅인 독도에 대해서는 모든 교과서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표현했다.
 

0003269102_001_20230328180501062.jpg?type=w647
28일 검정을 통과한 일본 초등학교 사회교과서들. 김현예 특파원

초등학교 교과서에조차 징용에 강제성이 없었다는 역사수정주의적 입장이 반영되면서 한국 정부의 강제징용 판결 해결책 발표 후 이어지고 있는 양국 관계 개선 분위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지원해서 병사가 된 조선 젊은이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날 오후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열고 2024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쓰일 교과서 149종이 심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초등학교 3~6학년이 사용할 사회 교과서 12종과 3~6학년이 함께 배우는 지도 교과서 2종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병 관련 기술이 강제성을 약화하는 방향으로 수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점유율 1위인 도쿄서적은 기존 6학년 사회 교과서에서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의 병사로서 징병됐다"는 표현을 써 왔다. 그러나 새 교과서에선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에 병사로 참가하게 되고, 후에 징병제가 취해졌다"로 변경됐다. 국가가 병사를 강제로 동원한다는 뜻인 '징병'이 일부 시기에만 이뤄졌다는 식으로 축소된 셈이다.

또 해당 문구가 담긴 칼럼 옆 사진 설명은 "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에서 "지원해서 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로 바뀌었다. '지원'이라는 표현을 넣어 자발적으로 참전했다는 의미를 추가했다.

점유율 2위인 교육출판의 6학년 사회 교과서는 "일본군 병사로 징병해 전쟁터에 내보냈다"는 기술에서 '징병해'를 삭제해 "일본군 병사로서 전쟁터에 내보냈다"로 단순화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